아웃라인 - 윤곽의 뜻을 가지고있음, 아웃라인 폰트 라고 하는데,

직선 또는 곡선의 윤곽선으로 표현한 인쇄용 글자체.

데이터 글자체를 고정된 도트의 집합체로 구성하는 도트 글자체(dot font))와 달리

#도트: 화면이나 프린터 등에서 문자나 그림을 구성하는 작은점. 즉 화소를 의미한다.

문자의 윤곽을 벡터(vector) 계산식으로 인쇄의 크기에 따라 최적의 이미지를 전개한다. 따라서 문자의 크기나 프린터의 해상도에 상관없이 자유로운 크기로 확대 축소해도 미려한 인쇄가 가능하고 자체의 변형이나 장식 문자 등의 가공이 쉽다. 프린터뿐만 아니라 화면 표시도 윤곽선 글자체로 표시, 출력 이미지를 그대로 디스플레이로 재현하여 이른바 위지위그(WYSIWYG)가 가능하다.

현재 개인용 컴퓨터(PC)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윤곽 글자체의 규격은 어도비 시스템즈사의 ATM과 애플 컴퓨터 회사의 트루타입이 있다.

#위지위그(What You See Is What You Get ): WYSWYG , 탁상출판(DTP)등에서 사용하는 말로, 화면상에 표시되는 문서의 글자체, 사진, 도표 등을 그대로 인쇄출력으로 얻을 수 있는것, 즉 표시 화면에 보인 시각적 이미지가 그대로 프린터로 인쇄되는 기능을 말한다. 메킨토시 컴퓨터, 대형표시 장치 및 탁상출판 소프트웨어, 레이저프린터 등의 시스템이 보급되어 위지위그의 사용이 증가되었다.

현재 대부분의 워드프로세서는 위지위그 방식을 쓰고 있으나, HTML이나 Tex는 편집 명령어를 통해 
편집하는 방식을 고수하고 있다. 이는 문서의 호환성, 범용성 때문이다.


위지위그 기법이 채택되기 전에, 레이아웃(여백,공백 등)에 거의 관계 없이 시스템 표준 글꼴과 스타일을 사용하여 텍스트가 편집기들에 나타났다. 사용자들은 일부 텍스트가 굵게, 기울임을 써야 하는지, 또 어떠한 크기나 글꼴을 사용해야 하는지를 지시하기 위해 특수한 비인쇄 제어코드(현재 마크업 코드 태그라고함)를 입력해야 했다. 이 환경에서는 문서 편집기와 워드 프로세서간 차이가 거의 없었다.

1974년 제록스 PARC에서 버틀러 램슨, 찰스 시모니 및 동료들이 개발한 알토용 문서 프레젠테이션 프로그램인 브라보가 일반적으로 위지위그 기술을 통합한 최초의 프로그램으로 간주되며, 글꼴, 자간과 같은 형식으로 텍스트를 보여주었다.

사용자가 얻을 수 있는 최종 문서와 이미지와 가장 근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말한다.
레이아웃 명령의 이름을 꼼꼼히 기억하거나 입력할 필요 없이 문서 레이아웃의 수정을 말한다.

 

'일러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pter17. 아트웍 색상 변경  (0) 2020.01.28
Chapter16. 색상 그라디언트 만들기  (0) 2019.12.26
Chapter15. 점선 및 화살표 추가  (0) 2019.12.16
Chapter14. 색상 견본 만들기  (0) 2019.12.16
유용한 단축키  (0) 2019.12.0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