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E(국제조명위원회 International Commission on illumination)에서 규정한 색상값으로

사람 눈이 감지할 수 있는 색차와 색공간에서 수치로 표현한 색차를 거의 일치시킬 수 있는 색공간이다.

이전까지 디지털컬러에 대한 표시가 X,Y,Z라는 인간의 눈에 Red, Green, Blue 에 각각 유사한 색공간으로 표시하여 왔지만 이러한 색공간에서는 인간이 느끼는 두 색간의 색차와 계산된 수치로 나타내는 색차가 색상에 따라서 많은 차이를 보이는 반면 CIE Lab은 균일한 색 공간 좌표로써 눈과 매우 근사한 차이를 보여주기 때문에 현재 세계적으로 표준화되어 있는 색공간이다.

 

CIE Lab에서의 색좌표는 L* a* b* 로 표시하게 되며, L*은 명도, a*는 Red와 Green의 정도, b*는 Yellow 와 Blue의 정도를 나타내는 입체좌표이다. 즉 수학에서의 입체공간 X,Y,Z와 유사하다. 그러나 CIE Lab공간은 완전한 구의형태는 아니다.

Green 계통은 중심으로부터 거리가 짧고, Red계통은 중심으로부터 거리가 Green보다는 훨씬 멀다. 

명도를 나타내는 수치 L*은 영어로는 Lightness로서 L*=100은 흰색(흰색이라기 보다는 광원의 색에 가깝다)

L*=0 은 검은색이다.

a*=80은 a*=50보다 더 붉게 보이며, b*=50은 b*=20보다 훨씬 Yellow가 많게보인다

이공간에서 색의 차이란 구에 가까운 색공간에서의 두색의 위치간의 입체적인 거리라고 할 수 있다. 입체적으로 거리가 서로 멀면 색차이가 많이 나는 것이고, 거리가 거의 차이가 없으면 동일한 색으로 인지된다. 

이 색공간을 이용한 색 표시계를 (CIE1976) L*a*b* 색 표시계 또는 CIE LAB 색 표시계라 한다.

'일러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파운드 패스  (0) 2020.01.29
확장 기능(Expand Tool)  (0) 2020.01.29
버튼 UI디자인 기본 요소  (0) 2020.01.29
Chapter 19. 텍스트 단락 추가  (0) 2020.01.28
Chapter18. 텍스트 열 추가  (0) 2020.01.2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