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을 열고 아트웍을 변경해보자

변경된 아트웍을 저장하면 위와 같은 옵션 정보가 뜬다.
대부분 확인을 체크한다.
파일의 모습만 보여줄 목적이라면 PDF파일로 저장하면 된다.

1.EPS 즉 캡슐화된 PostScript는 PostScript 프린터와 이미지 세터로 인쇄할 수 있는 벡터 형식입니다.
2.Illustrator Template(*.AIT)는 원본 일러스트CC 파일을 저장하고 언제든지 복사본을 열수있음
3.SVG(확장가능한 벡터 그래픽의 여러버젼)는 웹사이트와 같은 용도로 사용할 일러스트CC 아트웍을 저장하는데 사용
4. Adobe PDF 는 파일을 PDF로 저장할 때 사용

PDF용도에 따라 사전설정을 선택하면 된다.
예를 들어 웹사이트에 이 PDF를 게시할 경우 최소파일크기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벡터(Vector): 컴퓨터그래픽에서 이미지 표현방식은 크게 두가지로, 벡터와 비트맵이다.
점과 점을 연결함으로써 수학적 함수 관계의 의해 이미지를 표현하여 선과 면을 만들어낸다. 이렇게 만들어진 선이 두껫값과 색상값, 곡률값을 갖거나 면이 색상 값을 가지면서 이런 점, 선, 면의 요소들이 모여 그래픽을 만듬
벡터의 점은 좌표계(x,y)로 구성되기 때문에 , 비트맵의 픽셀과 달리 이미지의 크기조절이나 변형때문에 해상도까지 깨지지 않습니다. 돋보기로 봐야 할 만큼 크기를 줄이고, 건물 외벽에 붙일 만큼 크기를 키워도 깨짐현상이 없습니다.
그래서 벡터방식은 이곳,저곳, 여기, 저기 적용하는 부분이 많아, 크기조절이 자유로워야 하는 로고나, 여러포인트로 조정되어야 하는 서체, 다양한 크기로 여러 곳에 응용되어야 하는 케릭터 등을 제작할 때 사용합니다.
그리고 픽셀로 구성되는 비트맵보다 용량이 현저히 적기 때문에 파일을 관리하기도 편리합니다.
벡터 방식을 사용하는 대표프로그램은 어도비에서 만든 일러스트, 그밖에 코렐드로우 , 폰트랩 등이 있음.
*비트맵: '비트의 지도'(Map of bits)라는 뜻으로, 각 픽셀에 저장된 비트 정보가 집합된 것입니다.
비트맵은 벡터와 다르게 픽셀의 점 하나하나가 이미지를 이루는 요소이기 때문에 벡터보다 정교한 이미지 표현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픽셀의 수가 많아 질수록 화질은 뛰어나지만, 용량 또한 커지게 되고 이미지를 확대하거나 축소하면 기존 이루고 있던 픽셀의 수가 변하는데, 이로 인해 깨짐 현상과 이미지 품질 저하가 발생하게 됩니다.
비트맵 대표적인 프로그램은 어도비의 포토샵, 그리고 페인터 등이 있음
그래픽요소는 벡터방식의프로그램으로 제작하고, 사진과 같은 이미지 제작은 비트맵 방식으로 제작한다.
두 방식의 차이를 알고 있으면, 작업할 때 해당 작업물에 적합한 방식으로 작업하기에 편할것이다.
'일러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pter10. 콘텐츠를 그룹으로 지정하여 작업 (0) | 2019.12.09 |
---|---|
Chapter8. 추적을 통해 모양 만들기 (0) | 2019.12.08 |
Chapter7. 모양결합 (0) | 2019.12.08 |
Chapter3. 새 문서 만들기 (0) | 2019.11.22 |
Chapter2. 확대 축소 및 패닝방법 (돋보기 사용법, 확대,축소) (0) | 2019.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