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사람들을 보고 “혈기가 왕성하다”라는 표현을 많이 한다. 그리고 체력이 약한 사람이나 쉽게 피로를 느끼는 사람들을 보고 “기가 약하다”라는 말을 하고, 안색이 창백한 사람을 보고 “혈색이 나빠 보인다”라고 말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기혈(氣血)이란 한방에서 가장 기본적으로 쓰이는 한의학 용어이다.
옛날 사람들은 낮과 밤의 변화에 따른 자연의 법칙과 규율에 주목을 하였다. 낮에는 태양의 에너지로 생명체들이 생명활동을 하고, 밤에는 잠을 자고 안정을 취한다. 이러한 낮의 활동력, 에너지, 온기, 열기, 불, 발생, 승발, 빛, 밝음, 움직임 등의 기운을 총칭하여 양(陽)이라 하고 밤의 어두움, 안정, 냉기, 한기, 물, 휴식, 수렴, 저장, 정지 등의 기운을 총칭하여 음(陰)이라 한다. 음양 개념을 자연의 법칙뿐만 아니라 인체에도 적용하였는데 그 대표적인 것이 기(氣)와 혈(血)이다.
인체의 양을 대표하는 것이 기이고, 음을 대표하는 것이 혈이다. 그래서 양기(陽氣)라고도 하고, 음혈(陰血)이라고 동시에 붙여서 부르기도 한다.
기는 인체의 생명력과 활동력을 지칭하는 것으로, 기가 왕성하다 함은 인체에 축적된 에너지가 충만하여 몸이 따뜻하고 추위를 잘 이겨내며 인체의 내부 장기와 정신활동 등의 생명활동이 왕성한 상태를 이야기하는 것이다. 혈은 인체의 물질적인 바탕이 되는 것으로 음식을 통해 섭취한 영양분으로 인체를 자양하는데, 혈이 왕성하다 함은 체내에 영양분을 함유한 피가 충만하여 혈색이 좋고 손발이 시리거나 저리지 않은 상태를 말하는 것이다.
기는 혈을 원료로 하여 인체의 생명활동을 발현 유지할 수 있고, 혈은 기의 추동작용이 있어야 운행될 수 있다. 이처럼 기와 혈은 상호 의존적 보완적이어서 기가 부족한 것이 오래되면 혈을 생성하는 기능들이 저하되어 혈도 부족해지기 쉽고, 혈이 부족한 것이 오래되면 연료가 없으면 불이 사그라지듯이 기도 부족해지기 쉽다.
오장육부 중에 주로 기와 관련된 장부는 비장과 폐장인데, 이곳에 기가 부족해지면 식욕이 없고 소화력이 떨어지거나 잘 체하기도 하고, 힘이 없고 말수가 적어지고 추위를 많이 타게 되며 감기나 비염에 잘 걸리게 된다. 혈과 관련된 장부는 간장과 신장인데 여기의 정혈이 부족해지게 되면 어지럽고 피곤하거나 눈이 건조하고 귀가 울리거나 허리가 아프기도 하고 생리량이 줄거나 소변을 조금씩 자주 보기도 한다.
그리고 양기가 허하고 음혈이 지나치게 많아지면 인체가 물먹은 솜처럼 무거워지게 되어 곧잘 비만이나 부종으로 이어지고, 반대로 양기는 넘치는데 음혈이 부족해지면 잘 때 땀을 흘리는 도한증이나 수면장애 그리고 장위(腸胃)가 건조해지는 변비와 피부가 건조해져 발생되는 피부 가려움증이나 아토피 증상이 잘 발생된다.
기와 혈이 모두 부족한 사람은 혈색이 창백하면서 추위도 많이 타고 어지러움도 많이 느끼게 되고, 기와 혈이 모두 충만한 사람은 혈색이 좋으면서 추위도 잘 이겨내고 감기도 잘 하지 않고 건강하다.
한의학에서는 양기가 허하면 기를 보충하는 사군자탕이나 보중익기탕 위주로 처방하고, 음혈이 부족하면 보혈하는 사물탕이나 육미지황탕 위주로 처방하고, 기혈이 모두 부족하면 팔진탕이나 십전대보탕 위주로 처방을 하는데, 체질과 증상에 따라서 처방을 조금씩 달리하고 가감하는 약재도 서로 다르다.
무엇보다 기와 혈의 상태를 잘 파악하여 적절한 처방과 약재를 선택하는 것이 관건이다. (경남도한의사회 학술위원회)

체온은 몸의 면역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체온이 1도 떨어지면 면역력이 30퍼센트 약해지고, 1.5도 떨어지면 암세포가 자라기 좋은 상태가 되며,
반대로 체온이 1도 올라가면 면역력이 5~6배가 강해진다며 체온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현대인들의 체온은
반세기 동안 1도 가까이 떨어졌다.
1. 따뜻한 음식, 따뜻한 차를 즐겨먹는다.
몸을 따뜻하게 하는 음식으로 연근, 단호박, 대추, 양파, 계피, 생강, 폐퍼민트 등이 있다.
음식 외에 수시로 차를 마시는 것도 중요한데, 생강차나 소화기능을 좋게해주는 대추차,
혈액을 보강하는 당귀차, 또 말초까지 순환을 잘되게 해주는 계피차 등이 효과가 있다.
발효음식과 매운 음식 등도 몸을 따뜻하게 만들어 주는 성질이 있으므로 참고로 한다.
2. 반신욕, 족욕을 즐겨한다.
두한족열 이라고 하는 생활 속 한방 요법은 머리는 차갑고, 발은 따뜻한 상태로 만들어 주는 것으로 하체의 따뜻한 기운이 상승하면서 기혈의 순환이 원활해지는 원리이다.
몸의 표면 가운데 특히 발끝이 차기 때문에 하반신을 따뜻하게 하면 보온효과가 높아진다.
체온보다 조금 높은 38~40도 정도의 물에 20분 정도 족욕이나 반신욕을 한다면 몸이 전체적으로 따뜻해져 혈액순환이 원활하게 되고, 노폐물이 배출된다.
3. 운동을 규칙적으로 한다.
4. 잠을 충분히 잔다.
눈을 뜨자마자 잠이 들 때까지 사람의 모든 행동과 말, 생각은 에너지를 쓰는 일이다
생각을 많이 하면 에너지가 심하게 많이 쓰이는데, 머리로 피가 몰리면서 몸이 차가워진다.
이 모든 행동이 누적이 되면서 저녁이 되면 몸이 차가워진다. 잠을 충분히 자는 것은 에너지를 보충하고 체온을 올리는 효과가 있다.
5. 장운동을 한다.
장운동은 인위적으로 장을 움직이는 동작이다. 장운동을 하면 소장과 대장을 비롯해 장기들에 운동자극이 가해져
소화기와 순환기 기능이 활발해진다. 또한 혈액순환이 활발해지면서 아랫배를 중심으로 몸이 따뜻해진다.
먼저 양발을 어깨 너비로 벌리고 무릎을 살짝 굽힌 후 양손바닥을 아랫배에 얹는다.
아랫배를 쭉 당겼다가 놓기를 반복한다. 어깨와 손에는 힘을 빼고, 아랫배에 느낌에 집중한다. 장운동을 하는 중에 배에 통증이 일면 장운동을 더 천천히 하거나, 멈춘 채로 배를 시계방향으로 쓸어주면 통증이 가라앉는다.
6. 목을 보호하자
우리 몸에 목이 붙어 있는 신체부위는 기혈의 순환이 정체되기 쉬운곳이다. 따라서 이 부분을 따뜻하게 해주면
온 몸의 순환이 원활해져서 몸이 따뜻해진다.
손목,발목,목을 따뜻하게 감싸주는 것이 포인트!
특히 감기 기운이 있거나 추위가 많이 느껴진다면 목 뒤편의 대출혈에 핫팩을 붙이거나 목도리로 감싸준다.
7. 발바닥의 용천혈을 눌러준다.
발바닥을 3등분 하였을 때 1/3 지점에 위치한 용천혈은 이곳을 자극할 경우 용기가 샘처럼 솟아난다고 하여 용천혈이라 이름이 붙여졌다.
하체의 혈액 순환에 도움을 주는 곳으로 하체의 혈액 순환과 관계가 깊다. 틈틈이 자극해 주는것이 좋다.

'비염, 고치기 위한 노력'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혈" 이란  (0) 2021.01.08
"몸을 따뜻하게 하는 음식"  (0) 2021.01.0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