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모트 마스터국 -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국에서 1네트워크에 1대만 존재한다. 리모트 마스터국에 사이클릭 전송의 각 국 송신 범위를 할당합니다.
리모트 I/O국 - 리모트 마스터국에서 할당할 수 있는 범위에 따라 사이클릭 전송을 하는 국입니다.
예약국 - 실제로는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국입니다, 장래 접속할 국으로 네트워크의 총국수에 포함해 둡니다.
중계국 - 다른 네트워크에 대한 트랜전트 전송을 중계하는 국, 네트워크 모듈의 링크 디바이스를 다른 네트워크 모듈에 전송하는 국 , 1대의 PLC에 복수의 네트워크 모듈이 장착되어 있음.
복렬 - 이상국이 정상 상태가 되었을 때 데이터 링크를 재개하는 기능입니다.
해열 - 데이터링크 이상 발생시 데이터 링크를 정지하는 기능.
디바이스 - CPU모듈이 내부에 가지고 있는 디바이스 (X/Y/M/D 등)입니다.
링크 디바이스 - 네트워크 모듈이 내부에 가지고 있는 디바이스 (LB/LW/LX/LY) 입니다.
링크 스캔 타임 - 네트워크의 각 국이 차례로 데이터를 송신하여 1바퀴 도는데 필요로 하는 시간, 링크 스캔 타임은 데이터량이나 트랜전트 전송 요구 등에 의해 변동된다.
링크 리프레시 - 리모트 마스터국에서 마스터 모듈의 링크 디바이스와 CPU모듈의 디바이스 간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 링크 리프레시는 CPU모듈의 시퀀스 스캔의 "END'처리" 시에 실행된다.
I/O 리프레시 - 리모트 I/O국에서 리모트 I/O 모듈의 링크 디바이스와 아래의 디바이스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
입출력 모듈의 디바이스 , 인텔리전트 기능 모듈의 디바이스
자동 리프레시 - 리모트I/O국에서 리모트I/O모듈의 디바이스와 인텔리전트 기능 모듈의 디바이스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
버퍼메모리 - 인텔리전트 기능 모듈이 내부에 가지고 있는 메모리로, 일시적으로 데이터를 기억한다. 네트워크 모듈에는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버퍼메모리 영역이 없다.
배턴 패스 -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데이터 입니다.
제품구성
QJ71LP21 - QJ71LP21형 MELSECNET/H 네트워크 모듈(광 루프 타입)
QJ71LP21-25 - QJ71LP21-25형 MELSECNET/H 네트워크 모듈(광 루프 타입)
QJ71LP21S-25 - QJ71LP21S-25형 MELSECNET/H 네트워크 모듈(광 루프 타입, 외부 공급 전원 기능 내장)
QJ71LP21G - QJ71LP21G형 MELSECNET/H 네트워크 모듈(광 루프 타입)
QJ71BR11 - QJ71BR11형 MELSECNET/H 네트워크 모듈(동축 버스 타입), F형 커넥터 (A6RCON-F)
QJ71LP25-25 - MELSECNET/H 네트워크 모듈(광 루프 타입)
QJ72LP25G - MELSECNET/H 네트워크 모듈(광 루프 타입)
QJ72BR15 - MELSECNET/H 네트워크 모듈(동축 버스 타입), F형 커넥터(A6RCON-F)
동축 버스 시스템에서는 네트워크의 마지막 국에 종단 저항(70Ω)이 필요 합니다. 종단 저항은 QJ71BR11, QJ72BR15에 동봉되어 있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준비 필요
1장 개요
MELSECNET/H 네트워크에는 다음 2종류의 시스템이 있다.
①관리국 - 일반국 간에 교신하는 PLC 간 네트워크
②리모트 마스터국 - 리모트 I/O국 간에 교신하는 리모트 I/O 네트워크
Q00JCPU, Q00CPU, Q01CPU는 MELSECNET/H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리모트 I/O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없다.
종래 MELSECNET/10H라고 부르던 네트워크는 앞으로는 MELSECNET/H 로 표현합니다. 리모트 마스터국에 장착하는 네트워크 모듈은 마스터 모듈로 표현합니다. 리모트 I/O국에 장착하는 네트워크 모듈은 리모트I/O 모듈로 표현합니다.
MELSECNET/H의 리모트 I/O 네트워크는 기존의 MELSECNET/10 네트워크 시스템의 리모트 I/O 네트워크를 고기능화, 대용량화한 시스템, MELSECNET/H의 리모트 I/O 네트워크에서는 기본 베이스 모듈이나 증설 베이스 모듈에 입출력 모듈, 인텔리전트 기능 모듈을 장착하여 리모트 I/O국에 장착된 각 모듈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MELSECNET/10의 리모트 I/O 네트워크에 대해 FA 시스템의 네트워크를 간편하게 구축할 수 있음.
MELSECNET/H 의 리모트 I/O네트워크의 광 루프 시스템은 통신 속도를 25Mbps 또는 10Mbps 로 설정 할 수 있다.
FA: Factory Automation: 공장 자동화
*광루프 - QJ71LP21-25, QJ71LP21S-25, QJ72LP25-25 전용
MELSECNET/H 리모트 I/O 네트워크의 PLC는 QCPU를 사용하십시요. MELSECNET/H의 같은 네트워크상에 리모트 I/O 네트워크와 PLC간 네트워크는 함께 사용할 수 없습니다. 다른 네트워크를 구축하십시요. MELSECNET/H의 리모트 I/O 네트워크에는 MELSECNET/H 네트워크 모듈만 접속할 수 있습니다. MELSECNET/10 네트워크 모듈(AJ72LP25, A1SJ72QLP25 등) 은 함께 사용할 수 없습니다.
MELSECNET/H의 리모트 I/O 네트워크 특징
1. 고속 통신 시스템
25Mbps / 10Mbps의 통신 속도에 의한 고속 데이터 송신이 가능합니다. (25Mbps는 QJ71LP21-25, QJ71LP21S-25 및 QJ72LP25-25의 광 루프만 사용가능)
2. 대규모이면서도 유연한 시스템 구축
링크디바이스는 링크 릴레이(LB) 16384점, 링크레지스터(LW) 16384점 으로 대용량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며, 링크입력(LX) / 링크출력(LY)은 8192점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리모트 I/O국 1국당 입출력 점수는 입출력을 합하여 최대 4096점까지 설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리모트 마스터국과 리모트 I/O국 간의 링크 점수는 최대 1600바이트까지 설정할 수 있습니다. 다중 리모트 마스터국과 다중리모트 서브 마스터국간의 링크 점수는 최대 2000바이트까지 설정할 수 있습니다.
국간, 총연장 거리가 길고 노이즈에 강한 광 루프 시스템(총연장 최대 30km)과 배선이 용이한 동축 버스 시스템(총연장 최대 500M)중에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동축케이블: 중심축에 내부 도체가 있고, 이를 절연체로 둘러 싼뒤. 여기에 외부 도체를 원통의 그물형태로 씌우고, 최종적으로 피복으로 감싼 형태의 케이블이다. 외부 도체를 쉴드라고도 하는데, 이렇게 그물망 형태로 둘러 싸면 전자기장을 차폐하는 효과가 나오기 때문에 노이즈의 간섭을 덜 받게 된다. 주위에 고주파 신호가 케이블을 통과해도 동축 구조로 상쇄하고 고주파를 매우 적은 손실로 장거리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반 전화선 같은 일반적인 2선짜리 케이블 보다 장거리 전송이나 고속 데이터 전송에 유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직경에 따라 교류 임피던스가 다른데, TV 신호 케이블 등은 대부분 75ohm 짜리 케이블을 사용하지만 고주파를 다루는 오실로스코프 등은 보다 굵은 50ohm짜리 케이블을 주로 쓴다.
가장 널리 사용된 분야는 TV안테나를 연결하는 용도이며, 이 때문에 안테나선 이라고도 부른다. 케이블의 굵기, 도체의 굵기, 쉴드의 특성, 전기적 특성 등등에 따라서 수도 없이 많은 종류가 있는데, 그냥 이런 구조를 가지기만 하면 모두 동축케이블 이라고 부른다.
발명자는 올리버헤비사이드, 20개나 되었던 맥스웰 방정식을 4개로 압축한 그사람 맞다.
주로 사용하는 단자는 RF단자와 BNC단자가 있다. 주로 이들을 사용하지만, 그외 다른 단자들도 얼마든지 사용된다. RF단자: 일반적으로 안테나선에서 사용하는 나사 형태의 단자이다. BNC단자: 꼽고 돌리면 고정되는 형태의 BNC단자도 많이 사용됨
전자기장: 전하의 운동에 의한 공간의 성질, 정지해있는 전하는 주위의 공간에 정기장만을 생성하지만 전하가 운동을 하면 자기장도 발생한다. 또한 전기장은 자기장을 변화시켜 생성할 수 있다. 전기장과 자기장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전자기장이 형성되는데, 그것에 관계하는 전하나 전류(전하의흐름)에서 떨어진 공간에 존재한다고 여겨진다. 어떤 경우에는 전자기장은 전자기 에너지를 운송하는 파동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아래의 기능으로 더욱 쉽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장래 접속할 국을 예약국으로 취급하는 예약국 지정이 가능합니다. 실제로 접속되어 있지 않은 국을 예약국으로 지정하여 교신 이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를 국번호 순으로 접속할 필요가 없습니다.
리모트 I/O모듈에는 CPU모듈과 같이 GX Developer에서 파라미터를 쓸 수 있습니다. 파라미터 설정에 의해 리모트 I/O모듈은 리모트 I/O국에 장착된 입출력 모듈의 상세 설정(응답시간, 에러시 출력모드)의 변경, 인텔리전트 기능 모듈 스위치 설정, I/O할당의 변경, 리모트 패스워드의 설정 등을 조작할 수 있습니다.
다중 리모트마스터국(DMR)과 다중 리모트 서브 마스터국(DSMR)을 마련하여 다중 리모트 마스터국이 다운되어도 다중 리모트 서브 마스터국이 대신해서 리모트 I/O국의 제어를 계속합니다. (다중 리모트 마스터국, 다중 리모트 서브 마스터국의 CPU모듈에는 QnPHCPU를 사용합니다) 다중 리모트 서브 마스터국은 다중 리모트 마스터국이 정상적으로 복귀(복렬)되어도 파라미터 설정에 의해 리모트 I/O국의 제어를 계속할 수 있습니다. (복렬된 다중 리모트 마스터국이 리모트 I/O국을 제어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이중화시스템은 입출력 모듈, 인텔리전트 기능 모듈을 제어하기 위해 다중 리모트 마스터 기능을 사용합니다. (이중화 시스템에는 QnRPHCPU를 사용합니다) 이중화 시스템 대응 다중 리모트 마스터 기능은 다중 리모트 마스터국(제어계)이 다운되면 다중 리모트 마스터국은 제어계>대기계로 전환하고, 다중리모트 서브 마스터국(대기계)이 대기계>제어계로 전환하여 리모트 I/O국의 제어를 계속합니다. 리모트 I/O국을 제어 중인 다중 리모트 서브 마스터국(제어계)은 다중 리모트마스터국(대기계)이 정상 상태로 복귀되어도 리모트 I/O국의 제어를 계속합니다.
최대 7단의 증설 베이스 모듈 접속가능, 리모트 I/O모듈은 증설 베이스 모듈을 최대 7단(기본 베이스 모듈을 포함 8단)까지 접속할 수 있으므로 64개의 모듈을 장착하는 것이 가능 합니다. 또한 증설 케이블의 총연장 거리는 최대 13.2m입니다.
3. 다양한 통신 서비스 제공
리모트 I/O국에 장착된 인텔리전트 기능 모듈의 데이터를 간편하게 읽거나 쓸 수 있습니다. 다음 4가지 방법 중에 선택하여 데이터를 읽거나 씁니다.
1. GX Configurator에 의해 초기 설정, 자동 리프레시를 설정한 인텔리전트 기능 모듈 파라미터를 리모트 I/O국의 리모트 I/O모듈에 씁니다. 자동 리프레시 설정에서 인텔리전트 기능 모듈의 데이터를 리모트 I/O모듈의 링크 레지스터 W에 리프레시 하면 리모트 마스터국은 사이클릭 전송으로 인텔리전트 기능 모듈의 데이터를 읽거나 쓸 수 있습니다.
2. 링크 전용 명령으로 인텔리전트 기능 모듈의 버퍼메모리에 대해서 직접 읽거나 쓸 수 있습니다. REMFR 명령: 리모트 I/O국 인텔리전트 기능 모듈의 버퍼메모리에서 데이터 읽기 REMTO 명령: 리모트 I/O국 인텔리전트 기능 모듈의 버퍼메모리에 데이터 쓰기
3. 인텔리전트 기능 모듈 파라미터의 자동 리프레시 설정에서 인텔리전트 기능 모듈의 데이터를 리모트 I/O모듈의 데이터 레지스터 D에 리프레시 하면, 리모트 마스터국은 READ, WRITE 명령으로 리모트 I/O 모듈의 데이터 레지스터 D를 읽거나 쓸 수 있습니다.
4. 인텔리전트 기능 모듈 파라미터의 자동 리프레시 설정에서 인텔리전트 기능 모듈의 데이터를 리모트 I/O모듈의 데이터 레지스터 D에 리프레시 합니다. 리모트 I/O 모듈의 파라미터에서 데이터 레지스터 D를 링크 레지스터 W에 리프레시하면, 리모트 마스터국은 사이클릭 전송으로 인텔리전트 기능 모듈의 데이터를 읽거나 쓸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QCPU용으로 작성한 인텔리전트 기능 모듈 파라미터를 그대로 리모트 I/O모듈용으로 활용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이벤트 발행 기능으로 자국 CPU모듈의 인터럽트 시퀀스 프로그램을 기동할 수 있습니다. 시스템으로부터의 응답시간을 단축하거나 실시간에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습니다.
RAS기능
- 자동 복렬 기능으로 이상국이 정상 상태로 돌아오면 자동으로 네트워크에 복귀하여 데이터 통신을 재개합니다. - 루프백 기능(광루프 시스템)에 의해 케이블 단선, 국 이상 등의 이상 위치를 분리해 동작 가능한 국간에 데이터 교신을 계속합니다. - 국 분리기능(동축 버스 시스템)에 의해 접속국이 전원 OFF 등으로 다운되어도 다른 동작 가능한 국간에 정상 교신을 계속합니다. - 시스템 가동 중에 CPU모듈이 정지하는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도 네트워크 모듈은 트랜전트 전송을 계속 할 수 있습니다. - 트랜전트 에러 발생 시의 시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리모트 I/O국에 전원 모듈을 2장 장착하여 리모트 I/O국의 전원을 OFF하지 않고 이상이 발생한 전원 모듈을 교환할 수 있습니다. (리모트 I/O국의 전원이중화), 전원 모듈을 2장 장착하려면 전원 이중화용 베이스 모듈이 필요합니다. - 리모트 I/O국에 장착되어 있는 입력모듈, 출력모듈 및 인텔리전트 기능 모듈에 고장이 발생하여도 시스템을 정지하지 않고 모듈을 교환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모듈 교환 기능) 온라인 모듈 교환은 Q 시리즈의 입출력 모듈, 기능버전 C 이후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모듈,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모듈, 채널 간 절연 열전대 입력모듈, 온도조절 모듈 등에 대해 실행할 수 있습니다.
#Loopback - A클래스와, B클래스 중 사용할 수 없는 127번대의 아이피를 사용하는 주소가 있습니다. 여기서 127.0.0.1을 루프백이라고 하는데 이것에 대한 설명입니다. 루프백 어드레스의 설정은 보통의 경우, 네트워크에 필수적이거나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필요에 따라 다음과 같이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네트워크 장애시 트러블슈팅 수행 네트워크에서는 다양한 원인으로 장애가 발생하게 되는데, 시스템 자체의 이상 유무(TCP/IP의 운용)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루프백 어드레스로 응답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라우팅 프로토콜의 운용
#트러블슈팅 - 시스템이나 장치 등에서 발생한 장애를 각종 수법을 써서(그 발생 개소나 발생원인을)추구하고, 찾아내는 것 ,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복잡한 문제들을 종합적으로 진단해 처리한다는 뜻 트러블 슈팅의 전체과정 1.문제정의 2.원인격리 3.수리 4.결과확인 5.문서화
RAS기능은 다음과 같은 이상 발생 시에 유효합니다.
- 케이블의 단선 - 자국의 전원 차단 - 네트워크의 설정 이상 - CPU모듈의 자기 진단으로 검출 가능한 이상 네트워크 모듈에 이상이 발생한경우, 이상이 발생한 내용에 따라서는 RAS 기능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5. 리모트 I/O국에 대한 이부에서의 접속 제어 가능
리모트 I/O국에 리모트 패스워드를 설정하여 리모트 I/O국에 장착된 Ethernet 모듈, 시리얼 커뮤니케이션 모듈, 모뎀 인터페이스 모듈을 경유한 외부로 부터의 접속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리모트패스워드)
6. 네트워크 기능의 강화
리모트 I/O국에 장착된 인텔리전트 기능 모듈을 GX Developer의 시스템 모니터 기능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리모트 I/O국에 장착된 인텔리전트 기능 모듈은 리모트 마스터국에 접속된 GX Developer에서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접속하거나 리모트 I/O국에 GX Developer를 직접 접속하여 시스템 모니터 기능을 이용하여 진단할 수 있습니다.
또한, 네트워크가 이상 상태일 때는 리모트 마스터국 또는 리모트 I/O국에 GX Developer를 접속하여 네트워크 진단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리모트 I/O국에 GX Developer를 접속하면 가동 중인 시스템에 영향을 주지 않고 온라인 상태에서 사용자 프로그램의 네트워크 기능을 테스트 할 수 있습니다. 리모트 I/O국 상의 입력 모듈로부터 입력(X)를 차단하고 GX Developer의 테스트에 의해 입력(X)을 On/Off 할 수 있으므로, 리모트 마수터국의 입력 프로그램을 테스트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리모트 마스터국에서의 출력(Y)을 차단하고 리모트 I/O국의 출력(Y)을 GX Developer의 테스트에 의해 ON/OFF할 수 있으므로 리모트 I/O국 상의 출력 모듈의 배선을 테스트 할 수 있습니다.
7. GX Developer 와의 조합에 의한 간편한 네트워크 구축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풀다운 메뉴나 대화상자 등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No, 동작 모드를 소프트웨어에서 설정이 가능하도록 하였습니다.
시스템 구성
리모트 I/O 네트워크에서 구성할 수 있는 시스템
MELSECNET/H 의 같은 네트워크상에 리모트 I/O 네트워크와 PLC 간 네트워크는 함께 사용할 수 없습니다. 다른네트워크를 구축하십시오
MELSECNET/H의 리모트 I/O네트워크에는 MELSECNET/H 네트워크 모듈만 접속할 수 있습니다.
MELSECNET/10 네트워크 모듈(AJ72LP25, A1SJ72QLP25 등)은 함께 사용할 수 없습니다.
▶단일 리모트 I/O 네트워크
(1) 광루프 시스템 - 리모트 마스터국 1대에 리모트 I/O국을 64대까지 접속할 수 있습니다. 리모트 마스터국은 반드시 국번0으로 설정하십시오
(2) 동축버스 시스템 - 리모트 마스터국 1대에 리모트 I/O국을 32대까지 접속할 수 있습니다. 리모트 마스터국은 반드시 국번0으로 설정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