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우개 툴을 사용하여 벡터 아트웍을 지우고, 가위 툴을 사용하여 아트웍을 잘라 다양한 패스와 모양을 만드는 방법 알아보기

지우개 툴은 일러스트에서 가져온 래스터 이미지가 아니라 모양 및 패스와 같은 벡터 아트웍만 지웁니다.

마우스로 드래그해서 선택된 막대기를 지우다가, 선택 되지 않은 부분을 지우면 지워진듯 하지만, 실제로 마우스 버튼을 놓으면 아무런 변화가 없음, 다른 부분은 선택되지 않았기 때문에

또한 직선을 지우려면 Shift 키를 누르면 된다

잠시 손잡이를 잠가서 실수로 선택하거나, 나중에 이동되는 일이 없도록 하려면 잠금 기능을 이용하면 된다
선택물 선택 후에, 잠금 누르면 됨. Ctrl+2

손잡이 사이에 있는 선의 가운데 부분을 제거해볼 텐데

이때 가위 툴을 사용하여 이 하나의 패스를 세개의 패스로 잘라 가운데 패스를 삭제 해보겠다

한 선의 패스가 가운데 부분을 잘라서 위 처럼 자른 패스 모양이 나옴

 

일러스트를 작업하다가 웹사이트, 포스터 등 웹디자인에 사용할 콘텐츠를 정렬해야 하는 경우가 있음

먼저 고급안내선을 사용하여 오브젝트를 서로 정렬하는 방법

고급안내선은 임시 안내선으로 콘텐츠를 이동하고 정렬할 때 유용함.
상단 중간 글씨, 오른쪽글씨, FOX 를 모두선택
선택한 오브젝트가 서로 정렬되도록 선택항목에 정렬이 선택되었는지 확인한다. 
세로 위 정렬 옵션을 클릭, 오브젝트를 맨 위 오브젝트의 상단 가장자리에 정렬 한다.
맨위 오브젝트 가운데 텍스트에 맞게 정렬이 된다.

한 오브젝트만 선택하면 정렬 옵션이 보이지 않음.

오른쪽 패스파인더 부근 쪽에 정렬옵션이 보여야 되는데 한개의 오브젝트만 선택되었기 때문에 보이지않음

한 오브젝트를 대지에 정렬하려면 정렬패널을 연다

윈도우 > 정렬 패널
이제 정렬하는 모든 콘텐츠는 대지와 연결된다.
가로 가운데 정렬 버튼을 클릭
텍스트를 대지의 가로 가운데에 정렬
선택한 체크상자를 아래 텍스트에 맞게 정렬해야 한다.

이 두 오브젝트를 서로 정렬하려고 하면 아래 텍스트 오브젝트가 위로 이동하여 맨위 오브젝트에 정렬합니다.

Fun Fact 텍스트가 아래 텍스트에 정렬되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주요 오브젝트에 정렬하면 됩니다.

Shift키를 이용하여 2개의 오브젝트를 선택 후 다시 아래텍스트를 선택하면 주위에 파란색의 강조표시가 나타 난다. 이는 주요 오브젝트임을 나타내며 선택한 다른 모든 오브젝트가 이 오브젝트에 맞게 정렬됩니다.
세로 위 정렬 버튼을 클릭하여 텍스트를 정렬
이경우 보시다시피 주요 오브젝트는 움직이지않음.

 

이 새와 같은 아트웍은 여러 오브젝트로 구성되어 정렬되거나 결합되어 완성된 거일 수 있습니다.

오브젝트를 함께 유지하거나 옮겨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여러 오브젝트를 함께 변경하고 옮기기 위해 그룹으로 지정할 수 있다

먼저 여러 오브젝트를 그룹으로 지정하는 방법을 살펴보고,  그룹의 개별 그룹을 편집하는 방법 살펴보기

그룹화 는 이 빨간색 네모에있음.

모든 콘텐츠를 그룹으로 지정할 수 있고, 다른 그룹을 포함한 그룹 콘텐츠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체크상자 부분의 돛을 아래로 옮겨야 하는데 그룹밖을 선택한 다음 다시 배를 선택하면 전체 그룹이 선택 되는데

그룹의 한 오브젝트를 선택하기 위해 그룹을 격리하여 개별 오브젝트를 편집할 수 있다.

주황색의 큰 돛을 두번 클릭하면

아트웍의 나머지 부분이 흐리게 표시되면서 편집할 수 없게 되고 문서 창 상단에 막대가 표시 된다. 대신 이 그룹의 개별 모양을 편집 할 수 있는데, 이를 격리 모드라고 한다.
격리모드에서 오른쪽 돛 모양의 크기를 조정 하고 격리모드종료한 모습
물결모양이 돛단배를 만든 후에 만들어 졌기 때문에 이 위에 놓이게 된다.

콘텐츠를 그룹으로 지정하면 아트웍을 구성할 때 여러 모양으로 구성된 콘텐츠를 손쉽게 선택하거나, 옮기고 변형 할 수 있으므로, 많은 시간 절약이 가능하다

 

'일러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pter12. 아트웍 자르기 및 지우기  (0) 2019.12.09
Chapter11. 콘텐츠 정렬  (0) 2019.12.09
Chapter8. 추적을 통해 모양 만들기  (0) 2019.12.08
Chapter7. 모양결합  (0) 2019.12.08
Chapter4. 작업저장  (0) 2019.12.03

실습용파일 열기

래스터 : 래스터그래픽스(Raster Graphics) 이미지, 곧 비트맵은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격자의 화소, 색의 점을 모니터, 종이 등의 매체에 표시하는 자료 구조이다. 래스터 이미지는 다양한 포맷의 그림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인쇄 산업은 래스터 그래픽스를 연속 톤으로, 벡터 그래픽스를 선형 작업으로 부른다.

이미지를 추적하고 레스터를 벡터 아트웍으로 변환해 보자

이미지 추적을 하면 
원하는 결과에 따라 설정할 수 있는 여러 옵션이 제공
초기값(Default) 설정모습 -  이 설정은 매우 유용한데 특히 콘텐츠를 추적하고 배경과 분리해야 할 때 유용 합니다.
충실도가 낮은 사진 - 원본 이미지와 매우 유사 하다 
스케치아트 - 필요한 메인 모양을 얻을 때


추적을 세부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다양한 옵션이 이미지 추적 패널에서 제공된다.


이제 이미지가 추적되어 모양으로 변환 됐지만,  아직 편집할 수 없다.

추적을 마치면 아트웍을 확장하여 편집할 수 있다. 추적한 아트웍을 한번 확장하면 다른 추적 설정을 변경할 수 없다.

기본적으로 이 추적이 적용 된다.

확장을 이용하여 벡터 아트웍을 편집 할 수 있다.
이제 로봇만 선택하기 위해 직접 선택 툴인 흰색 화살표를 길게 눌러 표시되는 메뉴에서 올가미 툴을 선택한다.
로봇모양을 드래그 하여 로봇머리만 선택한다.
선택된 로봇머리를 복사하고 붙인 상태,   로봇머리는 일련의 작은 오브젝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모든 것을 함께 유지하기 위해 그룹화 한다.
Shift 키를 눌러 아트웍이 왜곡되지 않게 크기를 알맞게 조정

일러스트에서 이미지를 추적하고 편집 가능한 벡터 이미지로 변환하는 방법을 이해했다면

직접 이미지를 추가하여 벡터 아트웍을 디자인에 추가 해보자

사진텍스터를 추적하여 텍스처가 가미된 배경에 추가하거나,  직접 그린 손글씨를 추적할 수 있습니다.

 

'일러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pter11. 콘텐츠 정렬  (0) 2019.12.09
Chapter10. 콘텐츠를 그룹으로 지정하여 작업  (0) 2019.12.09
Chapter7. 모양결합  (0) 2019.12.08
Chapter4. 작업저장  (0) 2019.12.03
Chapter3. 새 문서 만들기  (0) 2019.11.22

도형구성도구를 이용하여 결합도 가능하고, 모양을 더하거나 빼기도 가능하다.
이모양에서 도형구성도구를 이용하여 결합하게되면
이 도구를 이용하여 +표시가 될때  
위와같이 합칠 수 있다. 
반대로 겹쳐져 있는경우, 도형구성도구에서 Alt 키를 눌러서 마우스커서에 -커서가 나올때 
위처럼 겹쳐진 부분을 삭제해서 
가운데 부분만 남기고 윗부분 , 아랫부분을 지울 수 있다.
수정한 도형들을 겹쳐보았다
단, 도형을 선택하지 않으면, 위처럼 도형구성도구 선택시 위 모양과같은 오류 모양 표시가 나옴
도형구성도구를 이용하여 위처럼 만들어 보았다.

 

파일을 열고 아트웍을 변경해보자

변경된 아트웍을 저장하면 위와 같은 옵션 정보가 뜬다. 

대부분 확인을 체크한다.

파일의 모습만 보여줄 목적이라면 PDF파일로 저장하면 된다.

1.EPS 즉 캡슐화된 PostScript는 PostScript 프린터와 이미지 세터로 인쇄할 수 있는 벡터 형식입니다.

2.Illustrator Template(*.AIT)는 원본 일러스트CC 파일을 저장하고 언제든지 복사본을 열수있음

3.SVG(확장가능한 벡터 그래픽의 여러버젼)는 웹사이트와 같은 용도로 사용할 일러스트CC 아트웍을 저장하는데 사용

4. Adobe PDF 는 파일을 PDF로 저장할 때 사용

Adobe PDF 저장대화상자, PDF에 대한 옵션을 사용자가 지정할 수 있음

PDF용도에 따라 사전설정을 선택하면 된다.

예를 들어 웹사이트에 이 PDF를 게시할 경우 최소파일크기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최소파일크기]
왼쪽 목록 범주 선택 가능

 


*벡터(Vector): 컴퓨터그래픽에서 이미지 표현방식은 크게 두가지로, 벡터와 비트맵이다.

점과 점을 연결함으로써 수학적 함수 관계의 의해 이미지를 표현하여 선과 면을 만들어낸다.  이렇게 만들어진 선이 두껫값과 색상값, 곡률값을 갖거나 면이 색상 값을 가지면서 이런 점, 선, 면의 요소들이 모여 그래픽을 만듬

벡터의 점은 좌표계(x,y)로 구성되기 때문에 , 비트맵의 픽셀과 달리 이미지의 크기조절이나 변형때문에 해상도까지 깨지지 않습니다.  돋보기로 봐야 할 만큼 크기를 줄이고, 건물 외벽에 붙일 만큼 크기를 키워도 깨짐현상이 없습니다.

그래서 벡터방식은 이곳,저곳, 여기, 저기 적용하는 부분이 많아, 크기조절이 자유로워야 하는 로고나, 여러포인트로 조정되어야 하는 서체, 다양한 크기로 여러 곳에 응용되어야 하는 케릭터 등을 제작할 때 사용합니다. 

그리고 픽셀로 구성되는 비트맵보다 용량이 현저히 적기 때문에 파일을 관리하기도 편리합니다. 

벡터 방식을 사용하는 대표프로그램은 어도비에서 만든 일러스트, 그밖에 코렐드로우 , 폰트랩 등이 있음.

*비트맵: '비트의 지도'(Map of bits)라는 뜻으로, 각 픽셀에 저장된 비트 정보가 집합된 것입니다.

비트맵은 벡터와 다르게 픽셀의 점 하나하나가 이미지를 이루는 요소이기 때문에 벡터보다 정교한 이미지 표현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픽셀의 수가 많아 질수록 화질은 뛰어나지만, 용량 또한 커지게 되고 이미지를 확대하거나 축소하면 기존 이루고 있던 픽셀의 수가 변하는데, 이로 인해 깨짐 현상과 이미지 품질 저하가 발생하게 됩니다.

비트맵 대표적인 프로그램은 어도비의 포토샵, 그리고 페인터 등이 있음

그래픽요소는 벡터방식의프로그램으로 제작하고, 사진과 같은 이미지 제작은 비트맵 방식으로 제작한다.

두 방식의 차이를 알고 있으면, 작업할 때 해당 작업물에 적합한 방식으로 작업하기에 편할것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