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한 내용: 패스 연결

  • 두 패스를 선택하고 오브젝트 > 패스 > 연결을 선택하여 가장 가까이에 있는 끝점을 서로 연결합니다.
  •  

단축키 Ctrl+J  (패스조인)

'일러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이어 개념 이해  (0) 2020.01.31
윤곽선 모드  (0) 2020.01.31
곡률 툴로 그리기  (0) 2020.01.30
연필 툴로 그리기  (0) 2020.01.30
패스 위 또는 안에 텍스트 배치  (0) 2020.01.30

학습한 내용: 곡률 툴로 그리기

  • 툴 패널에서 곡률 툴을 선택합니다.
  • 패스에서 고정점을 클릭하여 설정합니다. 이때 고정점은 기본적으로 곡선 패스를 만듭니다.
  • 곡률 툴을 사용하여 직선 패스를 만들려면 두 번 클릭하여 고정점을 설정하거나 기존 고정점을 두 번 클릭하여 패스를 직선으로 만듭니다.
  • 패스에 점을 추가하려면 포인터를 패스 위로 이동합니다. 포인터 옆에 더하기(+)가 표시되면 클릭하여 점을 설정합니다.
  • 고정점을 이동하려면 드래그합니다.

'일러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곽선 모드  (0) 2020.01.31
패스를 결합하여 아트웍 연결  (0) 2020.01.31
연필 툴로 그리기  (0) 2020.01.30
패스 위 또는 안에 텍스트 배치  (0) 2020.01.30
1월30일 버튼 만들기 .part1  (0) 2020.01.30

학습한 내용: 연필 툴로 그리기

  • 툴 패널에서 페인트브러쉬 툴을 길게 눌러 표시되는 메뉴에서 연필 툴을 선택합니다. 
  • 연필 툴을 두 번 클릭하여 툴 옵션을 설정합니다. 
  • 연필 툴로 문서를 드래그하여 패스를 만듭니다.
  • 그리는 동안 패스의 시작 부분으로 돌아가 패스를 닫고 모양을 만듭니다. 
  • 패스에 연필 툴을 놓아 일부분을 다시 그립니다. 드래그하여 다시 그린 다음 패스를 완성합니다.
  • 연필 툴을 사용하여 직선 패스를 그리려면 Alt(Windows) 또는 Option(macOS)을 누른 상태에서 드래그합니다.

위와 같이 펜기능을 통해서 패스를 그려서 쉽게 면도 만들고, 선도 만들 수 있다. 

매우 유용한 기능

'일러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스를 결합하여 아트웍 연결  (0) 2020.01.31
곡률 툴로 그리기  (0) 2020.01.30
패스 위 또는 안에 텍스트 배치  (0) 2020.01.30
1월30일 버튼 만들기 .part1  (0) 2020.01.30
패스파인더 (Pathfinder)  (0) 2020.01.30

패스를 따라 텍스트를 추가하는 방법

학습한 내용: 패스를 따라 텍스트 배치

  • 문자 툴을 선택하고 Alt(Windows) 또는 Option(macOS)을 누른 상태에서 패스의 테두리를 클릭하여 텍스트를 추가합니다.
  • 텍스트를 드래그하여 선택합니다. 문서 오른쪽에 있는 속성 패널에서 칠 색상, 글꼴 및 글꼴 크기와 같은 텍스트 서식 옵션을 변경합니다.
  • 선택 툴을 선택한 다음 포인터를 텍스트 오브젝트의 모퉁이 밖으로 이동하고 드래그하여 회전시킵니다.
  •  

'일러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곡률 툴로 그리기  (0) 2020.01.30
연필 툴로 그리기  (0) 2020.01.30
1월30일 버튼 만들기 .part1  (0) 2020.01.30
패스파인더 (Pathfinder)  (0) 2020.01.30
컴파운드 패스  (0) 2020.01.29

1. 새로 만들기 (Ctrl+N) 

래스터 효과에서 스크린 모드로 하면 픽셀처럼 네모로 깨지는것처럼 화질이 구리게 보임
인쇄했을 때 세밀도가 떨어지거나 고르지 못하게 보이는 경우 문서 래스터 효과 해상도를 높입니다.

그래서 지금은 고 300ppi 로 설정

2. 새로운문서를 만들었으면, 이제 기초가되는 도형을 만든다.

획은 비활성화 시키고 (/) 원하는 색을 넣는다. 

모서리 각에 조금 둥근 각을 넣음.

3. 색을 채우고, 도형을 그렸다. 이제 안쪽으로 그림자가 비치게 해준다. 

Effect -> Stylize -> Inner Glow 

또는

위와 같이 효과를 줄수도 있다. 편한방법을 사용하면 된다.

4. Inner Glow 를 선택하면 아래와 같은 옵션 선택창을 볼 수 있다.

모드는 곱하기 (Multiply) 를 선택하시고, 색은 검은색에 가까운 어두운색을 선택하여 주십시요 

지금은 녹색계열이라서 어두운 녹색을 선택 했습니다.

여튼! 내부 그림자이므로 검은색 혹은 어두운계열로 선택해주세요.

색까지 선택했으면 아래 불투명도(Opacity) 75%정도,  흐림효과(Blur)는 원하는 값을 주면됩니다.

옵션을 조정하였으면, 이제 OK를 클릭하여 효과를 적용하세요 

미리보기를 눌러, 지금 적용되고 있는 효과를 미리 볼 수 있습니다.

 

5. 아랫부분을 좀더 빛을 준것 같이 하여 입체적으로 만들어 봅시다.

새로운 레이어를 생성하고 작업하도록 합니다.  수정을 용이하기 위해서.

투명도를 낮춰도 어색하기 때문에 이 어색함을 위해 번지게 해봅시다. 

가우시안흐림 효과를 사용해봅시다.

Effect > Blur > Gaussian Blur 를 선택 합니다.

값을 적당히 올려주면, 상하 좌우 조금 번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적당히 설정해서 효과를 적용해봅니다.

6. 자! 아래 그림처럼 적용 되셨나요? 이제 뭔가 있어보이기 시작했습니다. 

조금더 볼록해보이는 느낌이 들죠?  

면색을 검은색으로 주었습니다. 흰색으로도 가능합니다.

 

7. 이제 제일 중요한 반사광 부분입니다.

또다시 둥근사각형 도구를 이용하여 그려 봅니다.

그라디언트 기능을 적용합니다.

앞쪽은 투명하게 불투명도를 조절하였고, 뒷부분은 검은색으로 불투명도 90을 주었습니다.

 

8. 이제 조금더 입체적으로 보이기 위해 그림자를 넣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첫번째 도형1만 선택하여 주시면 됩니다.

 

'일러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필 툴로 그리기  (0) 2020.01.30
패스 위 또는 안에 텍스트 배치  (0) 2020.01.30
패스파인더 (Pathfinder)  (0) 2020.01.30
컴파운드 패스  (0) 2020.01.29
확장 기능(Expand Tool)  (0) 2020.01.29

선과 선을 이으면 도형이 만들어진다. 도형과 도형을 겹치면 도형을 이루는 선도 겹쳐진다. 

이 겹쳐진 부분을 기준으로 나누고 합쳐서 새로운 도형을 만들 수 있다. 이때 사용하는 기능이 패스파인더이다.

단축키는 Shift + Ctrl + F9 

패스파인더는 "모양모드(Shape Modes)"와 "패스파인더(Pathfinders)" 로 구분되는데 이 포스팅에서는 "모양모드(Shape Modes)"에 대하여 알아본다. 


모양모드(Shape Modes) 이해하기

1. 합치기(united)

3개의 도형을 그리고 겹쳐 놓는다.


3개의 도형을 범위 지정한 후에 패스파인더 모양모드에서 "합치기"를 클릭하면 아래 그림처럼 외곽선화 된다.

 

2. 앞변 오브젝트 제외(minus front)

첫번째는 동그라미를, 두번째는 네모를, 세번째는 육각형을 그렸다. 이 세가지를 겹치면 동그라미는 맨 뒤에, 네모는 중간에, 육각형은 맨 앞에 위치하게 된다.
3개의 도형을 범위 지정한 후에 패스파인더 모양모드에서 "앞편 오브젝트 제외"를 클릭하면 맨 뒤에 위치하는 동그라미를 기준으로 나머지 것들이 빼내어 진다.

만약 초생달을 그리고 싶다면 2개의 동그라미 도형을 만들고 겹쳐서 "앞편 오브젝트 제외"를 클릭하면 된다. 
차집합 제일 먼저 그린것에서 나머지 것들을 빼낸 것(예 초생달)

3. 교차영역(intersect)

3개의 동그라미를 그려서 겹쳐 놓는다.

3개의 도형을 범위 지정한 후에 패스파인더 모양모드에서 "교차영역"을 클릭하면 3개의 도형이 모두 겹쳐진 부분. 즉 수학으로 얘기하면 교집합 부분만 남고 나머지는 지워진다.

 

4. 교차영역 제외(exclude) # 이것은 2번 "교차영역" 과 반대 개념이다.

3개의 동그라미를 그려서 겹쳐 놓는다. 이번에는 이해를 돕기 위해 빨간색을 채워 넣는다.

3개의 도형을 범위 지정한 후에 패스파인더 모양모드에서 "교차영역 제외"를 클릭하면 2개의 도형이 겹쳐진 부분은 지워지고, 3개의 도형이 겹쳐진 부분과 나머지 부분이 남는다.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2개의 도형이 겹쳐진 부분은 지워지고, 3개의 도형이 겹친 부분은 지워지지 않고 남는다는 것인데, 단순하게 짝수로 겹쳐진 부분은 지워지고 홀수로 겹쳐진부분은 남는다고 이해하는 것이 좋다.
그래서 4개의 도형을 겹쳤을 때는 3개의 도형이 겹쳐진 부분은 남고, 2개의 도형이 겹쳐진 부분과 4개의 도형이 겹쳐진 부분은 지워진다.

 

'일러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스 위 또는 안에 텍스트 배치  (0) 2020.01.30
1월30일 버튼 만들기 .part1  (0) 2020.01.30
컴파운드 패스  (0) 2020.01.29
확장 기능(Expand Tool)  (0) 2020.01.29
CIE Lab 색공간  (0) 2020.01.2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