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전자메일을 송신/수신 한다. 인터넷을 이용하여 원격지에 있는 PC또는 PLC에 CPU정보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기능
2. MELSECNET/H, MELSECNET/10을 경유하여 타국 PLC와 교신한다. 다음에 나타난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복수의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타국 엑세스를 가능하게 합니다. Ethernet과 MELSECNET/H, MELSECNET/10이 혼재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복수의 Ethernet이 연결된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복수로 경유할 경우에 사용합니다. 이 기능에 의해 MELSECNET/H, MELSECNET/10이나 Ethernet을 경유하여 타국 PLC로 엑세스 할 수 있습니다. 3. PLC CPU간에서 데이터를 교신한다. 데이터링크용 명령(SEND/RECV/READ/WRITE/REQ/ZNRD/ZNWR)에 의해 Ethernet을 경유하여 타국의 PLC CPU 데이터를 송수신 합니다. 또한 Ethernet이나 MELSECNET/H, MELSECNET/10 네트워크 시스템을 경유하여 타국의 PLC CPU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도 있다.
4. 파일을 전송한다 (FTP) Ethernet모듈은 TCP/IP 표준 프로토콜의 FTP(File Transfer Protocol)의 서버 기능을 지원합니다. FTP커멘드를 사용함으로써 파일 단위로 QCPU파일을 읽고 쓸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컴퓨터 등에서 QCPU파일을 관리하고 필요에 따라 파일을 전송하거나 파일 목록을 열람가능하다.
- Interlink Transmission Parameters: 링크 간 전송 파라미터 설정 화면을 표시합니다. - Acknowledge XY Assignment: (FX CPU는 대응하지 않음), PLC파라미터의 <I/O assignment> 및 네트워크 파라미터에서 설정한 X/Y 상태를 확인합니다. - Routing Parameters: 루틴 정보 설정 화면을 표시합니다. - Assignment Image: 리프레시 파라미터의 할당 이미지 화면을 표시합니다. - Print Window Preview: 인쇄 미리보기를 실행합니다.
CC-Link IE 설정 Network Type: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네트워크의 종류(CC-Link IE)를 설정 Start I/O No. : 선수 I/O No.를 설정 Network No. : 네트워크 No.를 설정합니다. Total stations: 총 국수를 설정합니다 Group No. : 그룹 No.를 설정 Station No. : 모듈의 국번을 입력합니다. Mode: 모드를 설정합니다.
Network Range Assignment / Network Configuration Setting - Specify I/O Master Station: I/O 마스터국을 지정합니다. Specify Reserved Station: 예약국을 지정합니다. Equal Assignment: 모든 국의 링크 디바이스의 점수를 균등하게 할당합니다. Identical Point Assignment: 설정된 총 국수에 따라 링크 디바이스를 동일 점수로 할당합니다. Shared Group Setting: 그룹 사이클릭 기능의 공유 그룹을 설정합니다. Supplementary Setting: 링크 스캔 모드 설정, 루프백 기능 설정, 국 단위 블록 보증 등을 설정합니다.
Network Operation Setting: 팔라미터 명칭, 데이터 링크 이상국 설정, CPU Stop시의 출력 설정등을 설정합니다. Refresh Parameters: 리프레시 파라미터를 설정합니다. Interrupt Setting: 디바이스 코드, 검출방법, 인터럽트 조건, 인터럽트(SI) No. 등을 설정합니다. Specification method for station number: 국번을 프로그램으로 설정할 것인지, 파라미터에서 설정할 것인지를 설정, 유니버셜 모델 QCPU에서 일반국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만 국번을 프로그램으로 지정할수있다.
MELSECNET/10, MELSECNET/H설정
Network Type: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네트워크의 종류 (MELSECNET/10 모드, MELSECNET/H 모드)를 설정합니다. Start I/O No.: 선수 I/O No. 를 설정합니다. Network No. : 네트워크 No. 를 설정합니다 Total Stations : 총 국수를 설정합니다. Group No. : 그룹 No.를 설정합니다. Mode: 모드를 설정합니다.
Network Range Assignment (Common parameters) Specify I/O Master Station: I/O 마스터국을 지정합니다. Specify Reserved Station: 예약국을 지정합니다. Equal Assignment: 모든 국의 링크 디바이스의 점수를 균등하게 할당한다. Identical Point Assignment : 설정된 총 국수에 따라 링크 디바이스를 동일 점수로 할당합니다. Suppleementary Setting: 트랜전트, 저속 사이클릭 등을 설정합니다. Station Inherent Parameters: 국 고유 파라미터를 설정합니다. Referesh Parameters: 리프레시 파라미터를 설정합니다. Interrupt Setting: 디바이스 코드, 검출방법, 인터럽트 조건, 인터럽트(SI) No. 등을 설정합니다. Baud Rate Setting: 트위스트 버스 대응 모듈에서의 통신 속도를 설정합니다.
Ethernet 설정
- Network Type: Ethernet을 설정 - Start I/O No. : 선두 I/O No. 를 설정 - Network No. : 네트워크 No. 를 설정 - Group No. : 그룹 No. 를 설정 - Station No. : 국번을 설정합니다. - Mode: 모드를 설정합니다. - Operation Setting: 모듈의 공통사항을 설정합니다. - Initial Setting: 데이터교신용 타이머값을 설정, DNS서버의 IP어드레스를 설정 - Open Setting: 오픈 처리에 필요한 파라미터를 설정 - Router Relay Parameter: Ethernet의 라우터 중계 기능의 파라미터를 설정합니다. - Station No <> IP Information: Ethernet을 경유하여 다른 국의 PLC CPU와 교신하는 경우에 교신 상대국이나 중계국의 네트워크 No. 및 국번과 IP어드레스를 관련짓기 위한 정보를 설정합니다. - FTP Parameters : 로그인명, 패스워드, 커멘드 입력감시 타이머, CPU감시 타이머 등을 설정합니다. - E-Mail Setting General Setting: 패스워드, 메일, 주소, 메일 수신시의 문의 간격을 설정합니다. Mail Server Name: SMTP서버, POP서버, IP어드레스를 설정합니다. Send Mail Address Setting: 송신 상대 메일 주소를 설정합니다. New Setting: 통지 조건을 설정합니다.
색깔별 - 빨강: 데이터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 (데이터를 설정하지 않으면 동작하지 않음)
파랑: 데이터를 설정한상태(빨강의 탭에 대해서 데이터를 설정하면, 탭의 문자색이 파랑으로 바뀐다.)
자홍색: 디폴트값 (사용자가 설정을 하고 있지않음)
감색: 디폴트값 이외의 값 (자홍색의 탭에 대해서 데이터를 설정하면, 탭의 문자색이, 감색으로 바뀜)
#래치(Latch) (비휘발성)- PLC Memory영역 (D,WM 등등)을 PLC Reset되어도 정보를 유지시키는 것입니다. PLC parameter 영역에서 정의 가능하다. 대표적으로 File Register "R"영역은 자동 Latch영역으로 보면됨 Latch영역을 Clear 시킬려면 Program에서 해야함.
더 많지만 간단히 이정도이고, 스위치 및 센서류는 컴퓨터(PLC)에게 스위치가 눌렸는지 센서가 감지를 했는지 등을 전기신호로 알려줍니다. 전기신호로 알려주려면 당연히 PLC에 연결을 해야되고, 또한 모터를 구동한다거나 알림 등을 켠다거나 하는 역할을 하기위해서 ON OFF스위치를 PLC에 연결해야 합니다.
이제 다 연결했다고 치면, 스위치류와 센서류의 상태를 조합해서 (입력)
PLC는 어떤 모터를 구동할건지, 어떤 알림등을 구동할건지 판단해서 모터를 켜거나 알림 등을 끄거나 하게됩니다(출력)
이부분을 담당하는 모듈이 I/O Module이라고 합니다.
미쯔비시에서는 스위치 및 센서처럼 정보를 주는 것들을 입력(X)라 하고, 모터나 알림등처럼 동작을 지시하게 되는 류들을 출력(Y)라고 합니다.
그림에서처럼 스위치류, 센서류 등의 입력(X)은 I/O모듈의 입력측에
모터, 램프 등의 출력은 I/O모듈의 출력측에 연결하게 됩니다.
그런데 I/O모듈은 각 단자마다 고유의 주소를 갖고 있습니다. 그림에 표시된 모듈은 1번부터 8번까지의 주소를 갖고 있습니다.
이들의 주소는 X1,X2,X3,X4,X5.....X8로 표현됩니다. 즉, 비상정지 스위치를 X3이란 주소로 쓰려면 스위치의 연장선을 X3단자에 연결해야 합니다.
또한 그림에 표시는 하지 않았지만 모터나 램프등을 동작하게 하는 신호선은 Y1,Y2,Y3... 등의 단자에 연결하게 됩니다.
입출력 혼합 모듈입니다. 위 아래 어느 한쪽이 입력, 또 다른쪽이 출력이겠지요. 자세한건 메뉴얼을 봐야되고,
이런 I/O모듈들은 네트워크와 상관없이 바로 CPU에 연결됩니다.
플러스코먼, 마이너스코먼 중요합니다.
입력이던 출력이던 플러스 흔히 P24라고 많이 넘버링하고, 마이너스는 N24라고도 하죠.
입출력 한개당 2개의 선(P24,N24)이 나옵니다.
3개의 입력신호 X1,X2,X3을 연결한다고 했을 때 위의 사양에 보면 입력은 플러스코먼,
스위치류나 센서류들을 극성에 따라 연결하면 X1(+),X1(-),X2(+),X2(-), X3(+),X3(-) 6개의 선이 나오게 되는데,
플러스 코먼 플러스가 공통 단자라는 뜻입니다.
즉 마이너스 선 X1(-),X2(-),X3(-)를 1,2,3번 단자에 각각 연결하고, X1(+),X2(+),X3(+) 선은 함께 연결해서 코먼 단자에 연결하라는 뜻입니다.
글로 설명할 때는 애매했지만, 그림으로 보면 간단합니다.
그렇게 저렇게 해서 산업은 나날이 발전하고, 네트웍이 발전하면서 인터넷이라는것도 등장하고, 자동화도 더욱 발전하여 스위치며, 센서며, 모터며, 표시등 등의 종류 및 수량도 엄청 많아졌습니다.
네트웍의 발전에 힘입어, 스위치, 램프 등의 입출력을 직접 연결하는 방식 대신에 네트웍을 연결해서 전송하는 방법이 생겨납니다.
이 개념이 CC-LINK 입니다.
여러개의 선을 생략하고 4개의 선에 데이터만 실어서 보내줍니다.
그림에서 보면 A에 3개의 입력이 존재합니다만 보통 32개 정도의 입력이 가능합니다.
B~E까지는 입출력을 생략했습니다.
이 입출력선 대신에 4가닥의 CC-LINK 선이 각각 모듈에 연결됩니다.
가정에서 흔히 쓰는 랜선 정도로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B도 C도 32개 입력 혹은 출력이 가능합니다.
A,B,C,D 각각 32개의 입력 혹은 출력이 가능합니다.
I/O를 직접 연결하는 방법보다 네트웍으로 연결하는 방법을 쓰면 전선사용량도 엄청나게 줄어들고, 더불어 인건비도 줄어들겠지요.
공부하다보니 생각난건데, 그러면 결국엔 유선연결이냐 무선연결이냐 같은데, 무선연결이 편하지만 단점은 없는지? 예를 들면 간섭이 생긴다든지, 뭔가 통신상에 속도차이는 없는지, CC-LINK 단점: 연결 거리의 한계가 있다. (현장에서는 60M이상 쓰지 않는다.) 주로 사용하는경우: POINT가 적고, 거리가 멀고, 공사비 절감할 때. 거리가 멀어져 CC-LINK 사용이 불가능할 경우 MELSEC-NET을 쓴다.
어쨋든... CC-LINK 모듈 A,B,C,D 등을 국 이라고 하며,
CC-LINK모듈 (위 그림 PLC바로 아래 그려놓은그림) 을 국중에서도 으뜸인 마스터국이라고 하고, 네트웍의 전반을 운용합니다.
1개의 마스터국에는 최대 64개의 다른 국들을 연결 가능합니다. (국번 1~ 64)
마스터국 말고는 리모트I/O국, 리모트디바이스국, 로컬국, 인텔리전트 디바이스국 등이 있는데, 여기서는 리모트 I/O국만 설명합니다. 당연하겠지만 A~E가 모두 리모트 I/O국 입니다.
리모트 I/O국은 CC-LINK로 연결하는 것만 제외하면 위에서 언급한 I/O모듈과 동일하며 리모트 I/O국의 입출력단자는 I/O모듈과 매 한가지로 특유의 주소체계를 갖고 있습니다.
그러면 똑같은 2개의 리모트 I/O국의 주소는 어떻게 다를까요?
국마다 국번이라는게 있습니다. 모듈의 국번을 서로 다르게 맞춰주면 모듈의 국번 + I/O주소(X3,Y11등)로 구분 가능하지요.
CC-LINK를 배운다는 것은 I/O 주소 체계와 국번 체계와 주고 받는 데이터 및 파라미터를 이해한다는 걸 의미 합니다.
끝으로 마스터국으로 많이 쓰이는 QJ61BT11N의 사양을 간단히 살펴봅니다.
최대접속 대수: 한 마스터국에 최대 64대까지의 국을 연결할 수 있습니다. CPU하나당 64국 *32점 = 2048점(최대)
위에 표에도 1시스템당 최대 입출력 2048로 나오네요. (입력,출력 등 비트 단위의 정보를 점이라고 합니다)
점유국수: 보통의 I/O모듈은 1국 차지하는데 일부 모듈들이 4국 차지합니다.
1국 차지하는 국번호 5번의 다음 국번은 6이 되지만, 4국 차지하는 국번호 5번의 다음 국번은 9번이 된답니다.
국번호는 IO 어드레스 및 파라미터값 참조에서도 상당히 중요한 변수입니다.
입출력 점수는 1국당 32점입니다.
IO를 16점만 쓰는 리모트I/O국이 있는데, 그래도 32점 할당하고, 그 다음국에 다시 32점 할당합니다.
4국 차지하는 국은? 답은 32*4 = 128점 차지 합니다.
CC-LINK 개념 설명에 이어
리모트 IO국과의 교신에 대해 알아봅시다.
리모트 IO라는 모듈이 네트워크를 통해 입력 및 출력 스위치의 상태를 PLC에 보고하고 실행하는데요.
이번에는 구체적으로 어떻게 입출력 값 교환이 일어나는지 알아 보겠습니다.
대부분의 네트웍은 그 네트웍을 관리 운영하는 장비가 있습니다.
보통은 댁에서나 직장에서 공유기를 사용하실텐데요. 이때는 공유기가 네트웍을 관리 운영하게 됩니다.
아이피 주소할당이며, 데이터의 전송 등 우리가 아는일, 모르는 일 여러가지 상당히 많은 일을 한다.
마찬가지로 CC-LINK 네트웍에서도 네트웍을 총괄하는 놈이 있는데, 이것을 마스터국 이라고 한다.
흔히 쓰는 모듈중에 QJ61BT11N이라는 놈이 있음. 그리고 마스터국은 총 64개의 리모트 IO국을 관리할 수 있다.
CC-LINK 시스템의 통신방법(리모트 입출력값을 교환하는방식) 으로는
1. 리모트 네트워크모드
2. 리모트IO네트워크 모드
두 종류가 있는데, 여기서는 리모트 IO만을 사용하는 것으로해서 진행한다.
리모트 IO국과의 리모트 입력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링크 스캔을 하던 , 리프레쉬를 하던, 리모트 IO의 입력 상태가 마스터국으로, 또 PLC CPU로 전달됩니다.
1국이 32개의 입력 또는 출력을 가진다고 가정했을 때, 32비트 이므로 16진수로 20H개의 데이터가 되고 이 데이터는 국번에 따라 마스터국의 지정된 버퍼에 저장됩니다. 버퍼의 위치는 추후 설명, 그리고 이 버퍼의 내용이 다시 PLC CPU의 메모리에 저장되는데, PLC CPU의 메모리 위치를 파라미터값 설정하면서 지정해줍니다.
결론은 리모트 I/O의 입출력값은 국번에 따라 마스터국의 정해진 위치(변경불가)에 저장되고, PLC CPU의 지정위치(파라미터로설정)에 저장됩니다. 나중에 다른 파라미터들도 나오는데, 이들도 PLC CPU의 설정가능한 위치에 저장됩니다.
마스터 국의 리모트 입력 RX버퍼의 크기를 계산해보겠습니다.
RX00~RX7FF 까지이므로 그 크기는 800H(2048)가 됩니다.
2048 / 32 (20H 1국당 입출력) = 64 <--- 마스터국에 붙을 수 있는 최대국수 64와 딱이죠?
이런식으로 CC-LINK는 64개 국을 기준으로 대부분의 파라미터들을 분류해두었습니다. 참고하시고 보면 다른 부분들도 좀 쉬워요
대충 다시 정리해보면
1. 네트웍을 이용해서 IO(입력및 출력값)값을 가져올 수 있는데, 리모트 I/O라고 한다.
2. 리모트 I/O의 입출력값은 마스터국에 의해 모아져서, PLC CPU에 전달된다.
3. 이과정에서 3가지 주소가 존재하게 되는데, 리모트 I/O의 주소는 32점 모듈의 경우 0X00~0X1F 혹은 0Y00~0Y1F 이다. 리모트 IO가 저장되는 마스터국의 표기는 RX00~RX1F(1국의데이터), RX20~RX3F(2국의데이터) 순으로 저장되며 버퍼 메모리의 일정 장소에 저장된다. 마스터국에 저장된 데이터는 CPU메모리에 자동 저장되는데 이 위치를 지정할수 있다
파라미터 값을 설정해 보자
CC-LINK를 더블 클릭하면 CC-LINK 환경을 설정할 수 있는 창이 나옵니다.
마스터국 네트워크 파라미터
Number of Modules: 마스터국 역할을 하는 넘을 몇개나 가지고 있느냐 하는 질문입니다. 로컬국 등이 있긴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1개 쓰므로 여기서는 1을 선택합니다. Start I/O No: 아까 위에서 마스터국의 I/O주소 (X000 ~ X001F)에서 스타트 I/O No 0이 됩니다.
보라색의 Operation Setting 눌러서 Parameter Name을 설정합니다.
이름 설정 한 뒤 나머지 옵션들도 그냥 통과 확인 눌러주고 저장
Type은 국의 종류인데, 여기서는 그냥 Master Station 선택합니다.
Mode는 Remote IO 모드를 선택합니다. IO모듈만으로 구성되어 있다면 Remote IO모드가 가장 신속합니다.
Total module Connected 는 5로 합니다. 위 그림에서처럼 리모트 IO가 다섯개이기에,
마스터국은 포함되지 않는다.
그 나머지는 기본값으로 PLC CPU이상시 STOP, 시퀀스 스캔에 대한 링크 스캔방식을 비동기로(async)
1 - 명령을 용도별로 분류 2 -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명령 기호를 표시 (명령기호는 16비트 명령이 기준)
#32비트 명령 - 명령의 선두에 D를 부가한다 예) + : 16비트 명령 , D+: 32비트 명령 #OFF>ON 펄스 상승시에만 실행하는 명령 - 명령의 말미에 P를 부가한다. 예) + : On중 실행 명령 , +P: OFF>ON의 펄스상승시에만 실행하는명령 #실행명령 - 명령의 선두에 E를 부가한다. 예) + , E+: 실수 명령
#문자열 명령 - 명령의 선두에 $를 부가한다. 예) + , $+ : 문자열명령
3 - 회로상에서의 심볼 그림을 표시합니다. + : 명령 기호를 표시 S (Source): 연산 전의 데이터를 저장 D (Destination): 연산 후의 데이터의 목적지를 표시
4 - 각 명령의 처리 내용을 표시 5 - 실행조건
#실수 - 유리수와 무리수를 아울러 이루는 말 #유리수 - 정수와 분수가 있으며, 소수로 나타내면 유한소수나 순환소수가 된다. #무리수 - 실수이면서 정수나 분수의 형식으로 나타낼수 없는 수 #유한소수 - 소수점 아래에 0이 아닌 숫자가 유한개인 소수 #순환소수 - 소수점 이하의 어떤 자리 다음부터 몇 개의 숫자가 같은 순서로 한없이 반복되는 무한 소수 예를 들면 0.142857142857 따위를 말한다.
명령의 분류
시퀀스명령, 기본명령, 응용명령, 데이터링크용 명령, QCPU용 명령, 이중화 시스템용 명령으로 크게 구별됨
시퀀스 명령
접점명령 - 연산시작, 직렬접속, 병렬접속 결합명령 - 회로블록의 접속, 연산결과의 펄스화, 연산결과의 저장 - 읽기 출력명령 - 비트 디바이스의 출력, 펄스출력, 출력 반전 시프트명령 - 비트 디바이스의 시프트 마스터 컨트롤명령- 마스터 컨트롤 종료 명령 - 프로그램의 종료 기타 명령 - 프로그램의 정지, 무처리 등 상기 분류에 들어가지 않는 명령
#회로 : 전기가 어떤 점을 떠나 도체를 돌아서 다시 그 점으로 돌아오기까지의 길 #일람 : 여러가지 내용을 죽 훑어볼 수 있도록 간단명료하게 수록해 놓은 책
기본명령
비교 연산명령 - = , >, < 등의 비교 산술 연산명령 - BIN, BCD의 가감 승제
#가감: 더하거나 뺌 #승제: 곱하기와 나누기를 아울러 이르는 말
#BIN: 이진수를 나타내는 말로 기계어, 2진수는 INC와 INCP에서 설명된 바 있음. 보통 우리가 사용하는 입력 부품중에 (+)버튼을 누르면 올라가고, (-)버튼을 누르면 내려가는 숫자가 나오는 스위치가 있는데 이 스위치에서 나오는 신호가 2진수 코드입니다.
#BCD: Binary-coded-decimal: 이진코드화된 십진수, 말 그대로 십진수를 이진코드로 표기한 것이다. 2진코드로 표기는 했지만 실제 십진수에 대응되는 2진수의 값과 BCD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다음표는 각 십진수 숫자에 해당하는 BCD코드다. 0 - 0000 1- 0001 2- 0010 3- 0011 4- 0100 5- 0101 6-0110, 7- 0111, 8- 1000 9 - 1001 컴퓨터는 0과 1의 2진코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사람이 사용하는 십진수를 사용하기 위해서 십진수를 2진화 할 필요가 있다. 이는 단순히 십진수를 2진수로 바꾸는 것이 아닌, 규칙성을 가진 형태의 2진코드로 바꾸는 것을 의미한다. 십진수의 기수(사용하는 개수)는 0~9로 10개이고, 각각의 기수를 2진수로 바꿔 표현한 수를 BCD라고 한다.
BCD의 사용과 일반적인 2진수와 차이점의 예 459의 2진수표현은 111001011 BCD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4 5 9 0100 0101 1001
특징을 살펴보면 1, 십진수의 각 자리수에 대응되는 4개의 비트를 사용하여 표현 2. 각 4개의 비트의 범위는 0000~ 1001, 1010~1111은 사용되지 않음.
10진수를 2진코드화된 10진수로 표현하는 것은 간단하다. 하지만 BCD끼리의 연산을 2진수 처럼 하면 문제가 생긴다.
접점 명령
LD는 a접점 연산 시작, LDI는 b접점 연산 시작명령으로, 지정 디바이스의 ON/OFF 정보를 수신하여 연산 결과로 합니다. (워드 디바이스의 비트 지정시는 지정 비트의 I/O) 정보를 수신하여 연산 결과로 합니다.
AND, ANI
AND는 a접점 직렬접속, ANI는 b접점 직렬접속명령으로, 지정 비트 디바이스의 ON/OFF정보를 수신하여 이제까지의 연산결과와 AND연산을 실행하여 이 값을 연산 결과로 합니다.
AND.ANI의 사용제한은 없지만, 주변 기기의 회로 모드에서는 다음과 같이 된다.
쓰기 - AND,ANI가 직렬로 접속된 경우는 21단까지 회로를 작성할 수 있다. 읽기 - AND,ANI가 직렬로 접속된 경우는 24단까지 회로를 표시할 수 있다.
OR, ORI
OR은 a접점 1개의 병렬접속, ORI는 b접점 1개의 병렬 접속명령으로, 지정 디바이스의 ON/OFF( 워드디바이스의 비트 지정시는 지정 비트의 1/0) 정보를 수신하여, 이제까지의 연산 결과와 OR결과를 실행하여 이값을 연산 결과로 합니다.
OR, ORI의 사용 제한은 없지만, 주변 기기의 회로 모드에서는 다음과 같이 됩니다. 쓰기 - OR,ORI가 23개 연속으로 접속된 회로까지 작성할 수 있다. 읽기 - OR,ORI가 23개 연속으로 접속된 회로까지 표시할 수 있다.
LD, LDI, AND, ANI, OR, ORI 명령에서의 연산 에러는 없다.
#워드 디바이스: 디바이스의 기본 표현이 워드 단위로 되는 디바이스이다. #워드: 일정한 수의 바이트가 모인 데이터 단위 #바이트: 비트 8개가 모여 이루는 정보량의 단위
5. 워크 윈도우: 프로그래밍, 파라미터 설정, 모니터 등을 실행하는 메인이 되는 화면입니다.
6. 부품선택윈도우: 프로그램 작성용부품(펑션블록등)이 일람 형식으로 표시
7. 연결 윈도우: 워크 윈도우에서 실행하는 작업을 지원하기 위한 화면입니다.
아웃풋 윈도우: 컴파일이나 체크 결과(에러,경고 등)가 표시됩니다. 크로스 래퍼런스 윈도우: 크로스 래퍼런스의 결과가 표시됩니다. 디바이스 사용 리스트 윈도우: 디바이스 사용 리스트가 표시됩니다. 감시 윈도우: 디바이스의 현재값 등을 모니터 하거나 변경하는 화면 인텔리전트 기능 모듈모니터: 인텔리전트 기능 모듈을 모니터 하는 화면 검색/바꾸기 윈도우: 프로젝트 중의 문자열을 검색/바꾸기 하는 화면
8. 상태바: 편집 중인 프로젝트에 관한 정보가 표시됩니다.
#크로스 래퍼런스: 레벨이나 디바이스의 검색이 쉽게 가능하게 도와주고, 프로그램의 메인터넌스성이 향상됩니다. 모션 SFC프로그램, 서보프로그램, 메카 가구 프로그램에서 사용하고 있는 디바이스, 라벨을 일괄 검색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