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 프로토콜 또는 통신 규약은 컴퓨터나 원거리 통신 장비 사이에서 메시지를 주고 받는 양식과, 규칙의 체계이다. 

통신 프로토콜은 신호체계, 인증, 그리고 오류 감지 및 수정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토콜은 형식, 의미론, 그리고 통신의 동기 과정 등을 정의하기는 하지만 구현되는 방법은 독립적이다. 

따라서 프로토콜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그리고 떄로는 모두를 사용하여 구현되기도 한다. 

송신자와 수신자 사이에 "데이터 구조는 이런식으로 하고", "그건 이런의미이고","속도는 어느정도로 보내고" 그런식으로 보내기로 하자 라고 약속을 한 것입니다. 

비유를 하자면, 어디 기업에 내 이력서를 보낸다고 할때 메모장에 그냥 줄 글로 한자 영어 막 섞어서 작성해서 제출하는 것과, 그 회사와 약속되어 있는 (그회사가 제공하는) 이력서 양식에 맞추어 써서 보내는 것의 차이 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양식에 맞추어 보내게 된다면 상대방이 받았을 때 어느부분에 뭐가 있으며, 이 정보는 이 뜻이구나 하고 알 수 있지요! 이런 것을 네트워크 상에 미리 정해 놓은 것입니다.


네트워크 또는 다른 미디어를 통해 장치 간에 교환되는 정보는 통신 프로토콜 사양에서 설정 할 수 있는 규칙 및 규칙에 따라 관리됩니다.

의사소통의 성격, 교환된 실제 데이터 및 모든 상태에 따른 행동은 이 사양에 의해 정의됩니다.

디지털 컴퓨팅 시스템에서 규칙은 알고리즘 및 데이터 구조로 표현될 수 있습니다. 프로토콜은 알고리즘이나 프로그래밍 언어가 계산과 통신 하는 것입니다.

운영체제에는 대개 공유 데이터를 조작하여 서로 통신하는 일련의 협력 프로세스가 있습니다. 이 통신은 프로세스 코드 자체에 내장될 수 있는 잘 이해 된 프로토콜에 의해 제어됩니다. 대조적으로, 공유 메모리가 없으므로 통신 시스템은 공유 전송 매체를 사용하여 서로 통신해야 합니다. 전송은 반드시 신뢰할만한 것은 아니며 개별 시스템은 다른 하드웨어 또는 운영체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킹 프로토콜을 구현하기 위해 프로토콜 소프트웨어 모듈은 기계의 운영체제에 구현 된 프레임 워크와 인터페이스 됩니다. 

이 프레임워크는 운영체제의 네트워킹 기능을 구현합니다. 프로토콜 알고리즘이 휴대용 프로그래밍 언어로 표현될 때 프로토콜 소프트웨어는 운영체제에 독립적일 수 있습니다. 가장 잘 알려진 프레임워크는 TCP/IP 모델과 OSI모델입니다. 

인터넷이 개발될 당시, 추상화 계층화는 컴파일러와 운영체제 설계 모두에 대한 성공적인 설계 접근법으로 입증되었으며, 프로그래밍 언어와 통신 프로토콜의 유사점을 감안할 때, 원래 단일체 식 네트워킹 프로그램은 협력 프로토콜로 분해되었습니다. 이것은 요즘 프로토콜 설계의 기초를 형성하는 계층화된 프로토콜의 개념을 야기 했다.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전송을 처리하지 않습니다. 대신 프로토콜 스위트(protocol suite)라 불리는 일련의 협력 프로토콜을 사용합니다. 가장 잘 알려진 프로토콜 제품군은 TCP/IP,IPX/SPX, X.25, AX25 및 Appletalk입니다. 

프로토콜은 그룹의 기능성을 기반으로 정렬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전송 프로토콜 그룹이 있습니다. 기능은 레이어에 매핑되며 각 레이어는 응용프로그램, 전송, 인터넷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기능과 관련된 별개의 문제 클래스를 해결합니다. 메시지를 전송하려면 각 계층에서 프로토콜을 선택해야 합니다. 

다음 프로토콜의 선택은 각 계층에 대한 프로토콜 선택기로 메시지를 확장함으로써 달성된다.


HTTP: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HTTPS: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FTP: File Transfer Protocol

SFTP: Sucure File Transfer Protocol

Telnet: Terminal Network

POP3: Post Office Protocol Version3

SMTP: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SH: Secure Shell

SSL: Secure Socket Layer

SOAP: 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ARP: Adress Resolution Protocol

#알고리즘(Algorithmus) : 수학과 컴퓨터 과학, 언어학 또는 관련 분야에서 어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해진 일련의 절차나 방법을 공식화한 형태로 표현한 것. 계산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적 절차를 의미한다. 

알고리즘은 연산, 데이터 진행 또는 자동화된 추론을 수행한다. 산법으로 번역되기도 한다. 

알고리즘은 유한한 수의 규칙에 따라 구별 가능한 기호들을 조작하여 입력 정수에서 출력 정수를 생성하기 위한 일반화된 작업을 정의한다.
다음은 좋은 알고리즘의 특징이다.

1.정밀성: 변하지 않는 명확한 작업단계를 가져야한다
2.유일성: 각 단계마다 명확한 다음 단계를 가져야한다.
3.타당성: 구현할 수 있고, 실용적이어야 한다. 
4.입력: 정의된 입력을 받아들일 수 있어야 한다.

5.출력 답으로 출력을 내보낼 수 있어야 한다.
6.유한성: 특정 수의 작업 이후에 정지해야 한다.
7.일반성: 정의된 입력들에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추론: 어떤 일을 이치에 따라 미루어 생각하여 논급함

'PLC'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 명령어_2  (0) 2020.01.15
[11] 명령어  (0) 2020.01.15
[10] 인덱스 수식  (0) 2020.01.13
[09] 프로그래밍_4  (0) 2020.01.13
[08] 프로그래밍_3  (0) 2020.01.13

한국 산업인력공단 에서 실시하며 가장 기초적인 자동화 관련 국가기술 자격증. 

기존의 메카트로닉스 기능사와 생산자동화 기능사를 통합하여 2008년 생산자동화기능사로 개정하였다. 컴퓨터나 전기장치, 로봇이나 자동화 라인 등을 이용해 제품을 생산하는 것이 주된 직무내용. 


 필기

-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

- 기계 제도

- 메카트로닉스 일반

총3과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총 60점 이상을 받으면 합격이다. 여타 기능사 필기와 마찬가지로 과락은 없다. 

기계분야 기능사 필기 시험중에서 난이도는 전반적으로 평이한 수준. 

1과목과 2과목의 경우 컴퓨터응용선반기능사, 컴퓨터응용밀리기능사와 과목이 중복되기 때문에 이미 두 기능사 중 하나를 취득한 수험생이라면 부담이 없는 편이다. 

3과목이 복병이 될 수 있는데, 순수 기계 전공자이거나 그외 전공자가 아니면 초반에는 이해하기 힘들 수 있다. 그러나 이론 자체의 독학은 어렵지 않은 편이며, 개념만 알고 가면 기계과목과 마찬가지로 과년도 기출로 커버가 가능한 수준이다.


실기

작업형 총 4시간이며 CAD작업(2시간), PLC작업(2시간)으로 나뉜다. 두 과목 중 하나라도 응시하지 않거나 0점인 경우 실격되어 채점대상에서 제외된다. 


CAD작업

지급된 도면을 보고 3차원 모델링 및 2D도면 작업하여 출력하면 된다. 전산응용기계제도 기능사와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쉬운 난이도로 말이 CAD작업이지 사실상 따라그리기 수준에 가깝다.

한번씩 투상이 까다롭거나 처음 보는 유형의 도면이 나와 당황할 수 있다. 심지어 수험자 본인의 상식선에서 최대한 정상적인 방법으로 작업했음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문제 도면이 잘못된 게 아닌가 싶을 정도로 결과물이 시원찮을 때가 종종 있다. 이런상황에서는 당황하지말고 문제 도면과 최대한 유사하게 작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LC작업 

주어진 조건대로 동작이 되도록 컴퓨터로 PLC프로그래밍을 하는 작업이다. 

기본동작, 응용동작1, 응용동작2 총 세가지의 프로그램을 작성하며, 작업순서는 반드시 기본동작 > 응용동작1 > 응용동작2 순으로 해야 한다. 기본동작을 프로그래밍 하지 않으면 전체0점으로 미완성, 오작 및 실격처리 된다.

 작업의 검사 방식은 감독관마다 다른데 대체로 각 동작이 프로그래밍 될 때마다 감독관에게 검사를 받는다. 감독관이 보는 앞에서 프로그램을 운전하고 통과하면 다음 프로그래밍으로 넘어가는 방식 , 프로그램의 작성 방법 또한 한 파일에 세가지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도 있고, 3개의 파일에 따로 작성할 수도 있으니 시험 시작 전 특별한 안내사항이 없다면 감독관에게 물어보는 것이 좋다.

기본동작만 할 경우 점수상으로 100%탈락한다. 이유는 CAD작업이 만점40점, 기본동작은 5~10점 정도기 때문에 기본동작만 해서는 절대로 합격할 수 없으며, 응용동작1 까지는 반드시 해야 합격을 조금이나마 보장할 수 있는 정도, 물론 응용동작1까지 하더라도 CAD작업에서 점수를 잘 받지 못하면 합격이 어렵다. PLC작업에 자신이 없어 CAD작업으로 커버친다는 마인드로 치다가 떨어지기 일쑤이다. 응용동작2까지는 해야 안정권이며, CAD작업에서 오작만 안나오면 어지간해서는 합격한다 

각 동작마다 나오는 프로그래밍의 유형이 90% 정해져 있기 때문에 PLC에 대한 기본 개념만 잡혀 있으면 대부분 2~3주 안에 응용동작2, 까지 가능하게 된다. 기본동작은 실린더의 전/후진, LED등의 온/오프와 그에 대한 타이머 설정이 나온다. 

응용동작1은 기본동작에 드릴, 컨베이어 구동, 금속/비금속 감지, LED 등 점멸 등이 추가된다. 응용동작2는 비상정지, 카운터 등이 추가 된다.

비상정지 프로그래밍은 또 몇개의 유형으로 나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개념을 잘 익히는 것이 좋다.


우대현황

주로 각종 공기업 고졸공채에서 기계분야 필수 또는 가산 자격증으로 자주 쓰이나, 목록에 올라가는 빈도는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용접기능사 등의 자격증에 비해 밀리는 편, 그러나 기계직공무원, 한국조폐공사, 한국도로공사 등 대부분의 기계직 공채에 널리 쓰인다. 마이스터고 학생들이 대기업 특채에 지원할때 많이 우대받는 자격증이기도 하다.

생산관리시스템(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줄여서 MES)은 기업의 생산 현장에서 작업 일정, 작업 지시, 품질 관리, 작업실적 집계 등 제반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관리시스템, 생산공정관리시스템이라 불리기도 한다.

생산 관리 시스템은 생산 계획과 실행의 차이를 줄이기 위한 현장 상태의 실시간 정보 제공을 통하여 인공지능과 설비 사이의 의사 결정을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MES 시스템의 기능을 살펴보면 공정진행 정보의 모니터링 및 통제, 설비 제어, 품질 정보 관리, 실적 정보의 집계, 창고운영관리, 재공품관리, 자재 투입 관리 그리고 인력 관리 등 생산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통합 관리한다. 또한 제4차 산업혁명의 인공지능(AI) 분야에서는 고객 필요 중심 생산을 위한 AI 기반 제품 기획, 설계 단계 스마트화 기술과 공장 내 다양한 장비와 설비, 공정에 지능을 부여해 각 개체가 자율 기능 수행을 지원한다.


여러가지 MES

1. 거래 처리시스템 (TPS: Transaction Processing System)
2. 의사 결정 지원시스템(DSS: Decision Supporting System)
3. 전략정보시스템(SIS: Stategic information System)
4. 전문가 시스템(ES: Expert System)
5. 전자 자료처리시스템(EDPS: Electronic Data Processing System)
6. 정보보고시스템(IRS: Information Reporting System)
7.중역정보시스템(EIS: Excultive information System)
8. 집단의사결정시스템(GDSS: Group Decision System)
9.고객관계관리(CRM: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10. 전사적 자원관리(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새로운 단어, 문장 공부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펜데믹 이란?  (0) 2020.03.10
온고지신  (0) 2020.02.15
[국어문법] 조사  (0) 2019.12.17
[국어문법] 관형사  (0) 2019.12.17
전해질  (0) 2019.12.14

주소 지정 인덱스 

인덱스수식 

인덱스 수식은 인덱스 레지스터를 사용하는 간접 설정 입니다. 
시퀀스 프로그램에서 인덱스 수식을 사용하면, 사용하는 디바이스는 (직접 지정하는 디바이스 번호) + (인덱스 레지스터의 내용) 이 된다. 

예를 들면 D272를 지정할 때  Z2 의 내용이 3인 경우는, D(2+3)=D5가 대상이 됩니다. 

인덱스 레지스터는 Z0 ~ Z15의 16점이 있습니다.  각 인덱스 레지스터에는 -32768~32767 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인덱스 수식은 다음과 같음 

인덱스 수식을 사용한 경우와 실제 처리되는 디바이스는 다음과 같음 (Z0 =20, Z1 = 5)


(2)인덱스 수식 가능 디바이스

인덱스 수식은 다음과 같은 제약을 제외하고 접점, 코일, 기본명령, 응용명령에서 사용하는 디바이스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인덱스수식이 불가능한 디바이스

▶기타

1. 비트데이터 

자리를 지정할 경우, 디바이스 번호는 인덱스 수식을 할 수 있습니다. 

단, 자리 지정은 인덱스 수식으로 할 수 없습니다. 

2. 특수 기능 모듈 디바이스에서는 I/O No. 와 버퍼 메모리 번호 모두 인덱스 수식으로 할 수 있습니다. 

3. 링크 다이렉트 디바이스에서는 네트워크 No. 와 디바이스 번호 모두 인덱스 수식으로 할 수 있습니다. 


(1) 간접지정

간접 지정은 시퀀스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디바이스의 어드레스를 2워드의 워드 디바이스(워드디바이스2점분)으로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인덱스 레지스터가 부족한 경우에 사용합니다. 

지정 디바이스의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디바이스는 "@+(워드 디바이스 번호)" 로써 지정합니다. 
예를 들면 @D100을 지정하면 D101, D100의 내용이 디바이스 어드레스가 됩니다. 

간접 지정하는 디바이스의 어드레스는 ADRSET 명령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간접 지정 가능 디바이스

CPU의 디바이스에서  간접 지정을 할 수 있는 디바이스는 워드 디바이스(D), 파일레지스터(R,ZR)등이 있습니다.

'PLC'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 명령어  (0) 2020.01.15
프로토콜  (0) 2020.01.14
[09] 프로그래밍_4  (0) 2020.01.13
[08] 프로그래밍_3  (0) 2020.01.13
PLC 디바이스  (0) 2020.01.13

특수 릴레이, 특수 레지스터 

PLC CPU에서는 특정한 용도로 정의 된 Device를 내장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프로그램 메뉴얼 끝부분의 부록 등에 기재되어 있으며 여기서는 자주 사용되는 특수릴레이(SM), 특수 레지스터(SD)만 살펴보자

SM210 - 시계 데이터 세트 요구

이 릴레이가 OFF → ON으로 변한 스캔의 END 명령을 실행한 이후에 SD210-SD213에 저장된 시계 데이터를 시계 소자에 쓴다.

SM213 - 시계 데이터 읽기 요구

이 릴레이가 ON일 때에 시계 데이터를 BCD값으로 SD210-D213에서 읽는다. 

SM280 - CC-LInk 에러

장착되어 있는 QJ61QBT11에서 1대라도 CC-Link의 이상을 검출한 경우에 ON합니다. 이후 정상이 되면 OFF합니다.

SM400 - 항상 ON 

항상 ON합니다. 관련 프로그램을 블록화 하기 위하여 선두에 주로 쓴다. 

SM401 - 항상 OFF

항상 OFF합니다. Debug 및 향후 Option의 사용/미사용 등의 이유로 막아 두는 용도로 많이 쓴다. 

SM402 - RUN 후 1스캔만 ON

RUN 후 1스캔만 ON합니다. 초기 데이터 쓰기 및 초기 원점 복귀용 펄스 발생 등의 초기화 작업에 주로 쓴다.

SM403 - RUN 후 1스캔만 OFF

RUN 후 1스캔만 OFF 합니다. 프로그램 초기화 중의 오동작 방지를 위하여 막아두는 용도로 주로 쓴다.

SM409 - 0.01초 클록

5ms마다 On/Off 를 반복

SM410 - 0.1초 클록

50ms마다 On/Off 를 반복

SM411 - 0.2초 클록

0.1초마다 On/Off를 반복

SM412 - 1초 클록

0.5초 마다 On/Off를 반복

SM413 - 2초 클록

1초마다 On/Off를 반복

SM414 - 2n(s) 클록

SD414에서 지정한 시간(초)에 따라 On/Off를 반복 

SM415 - 2n(s) 클록

SD415에서 지정한 시간(ms)에 따라 On/Off를 반복

자주 사용되는 특수 레지스터

SD0:  CPU 진단에러, 진단 에러 번호 표시 , CPU진단 결과 에러가 발생하였을 때의 에러 번호가 BIN코드로 저장된다.

SD210~SD213: 시계 데이터, 년/월/일/시/분/초/요일을 각 Byte에 표시한다. 

SD280: CC-Link 에러 검출 상태

장착된 CC-Link의 Xn0(모듈이상)가 ON하면 해당 국의 비트가 ON합니다. 
장착된 CC-Link의 Xn1(데이터링크)이나 XnF(모듈 레디)가 OFF하면 해당국의 비트가 ON합니다. 
장착된 CC-Link와 CPU가 교신할 수 없으면 ON합니다. 

SD412: 1초 카운터 (1초 단위로 카운트) 

시퀀스 CPU RUN 후 1sec마다 +1 합니다.
카운트는 0 → 32767 → 32768 → 0 을 반복

SD414: 2n(초) 클록설정 2n(초) 클록 단위

2n초 클록의 n을 저장합니다. (디폴트 n=30초)
1~32767까지 세트 가능

SD415: 2n(ms)클록 설정 2n(ms) 클록 단위

2nms 클록의 n을 저장 (디폴트 n = 30ms)
1~32767까지 세트 가능 

'PLC'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토콜  (0) 2020.01.14
[10] 인덱스 수식  (0) 2020.01.13
[08] 프로그래밍_3  (0) 2020.01.13
PLC 디바이스  (0) 2020.01.13
[07] 프로그래밍_2  (0) 2020.01.09

SFC 설정

1. SFC Program StartMode - SFC 프로그램의 기동 모드를 설정
2. Start Conditions - SFC 프로그램의 기동 조건을 설정
3. Output Mode When the Block is Stopped - 블록 정지 시의 SFC 프로그램의 출력 모드를 설정

디바이스설정

1. Device points - PLC CPU의 각 디바이스의 사용 점수를 설정
2. Latch (1) Start /End - RESET / L.CLR 스위치, 리모트 래치 클리어 조작으로 클리어를 가능하게 하는 래치 범위 (선두 디바이스No/최종디바이스No) 설정
3. Latch (2) Start /End - RESET / L.CLR 스위치, 리모트 래치 클리어 조작으로 클리어를 불가능하게 하는 래치 범위(선두 디바이스No/최종 디바이스No)를 설정
4. Local Device Start/End - 로컬 디바이스로 사용하는 디바이스의 범위(선두 디바이스No/최종디바이스 No)를 설정
5. File Register Extended Setting - 확장 데이터 레지스터, 확장 링크 레지스터를 설정
6. Indexing Setting for ZR Device - 32비트로 수식하는 Z의 선두 번호를 설정할 것인지, 32비트 수식용 인덱스 레지스터 ZZ를 사용할 것인지를 설정합니다. 

I/O 할당 설정

1. I/O Assignment - 베이스 모듈에 장착 되어 있는 각 모듈의 종류, 형명, 입출력 점유점수, 선두I/O No를 설정, PLC CPU의 스위치를 설정, 인텔리전트 기능 모듈의 스위치를 설정
2. Base Setting - 베이스 모듈의 형명과 슬롯 수, 전원 모듈의 형명, 증설 케이블의 형명을 설정

멀티 CPU설정

1. No. of PLC - 멀티 CPU시스템에서 사용하는 PLC CPU의 대수를 설정
2. Host Station - 자 호기의 호기의 번호를 설정합니다. 
3. Operation Mode - 2호기~4호기의 PLC CPU가 정지 에러가 되었을 때의 멀티 CPU 시스템의 동작을 설정 , 1호기가 정지 에러가 되었을 때는 멀티 CPU 시스템은 정지
4. Multiple CPU Syncronous Startup Setting - 기동 시간을 동기 시키는 CPU모듈을 선택 
5. Online Module Change - 멀티 CPU시스템에서 온라인 중에 모듈교환을 허가 할 것인지 여부를 설정
6. I/O Sharing when using Multiple CPUs - 다른 호기가 관리하고 있는 입출력 모듈, 인텔리전트 기능 모듈의 입출력 상태를 수집할 것인지 여부를 설정
7. Communication area setting(Refresh Setting) - 멀티 CPU간에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CPU공유 메모리를 설정 (사용가능 디바이스: B,M,Y,D,W,R,ZR)
8. Multiple CPU High Speed Transmission Area Setting - 사용자 자유영역, 자동 리프레시, 할당확인, 시스템영역을 설정 

 

'PLC'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 인덱스 수식  (0) 2020.01.13
[09] 프로그래밍_4  (0) 2020.01.13
PLC 디바이스  (0) 2020.01.13
[07] 프로그래밍_2  (0) 2020.01.09
QJ71E71-100  (0) 2020.01.06

+ Recent posts